[짜사이] 사람보다 나은 소나무…사회적 거리두기는 기본 방역 수단

2020.04.22 11:37:35

 

어제 우연히 신비로운 자연현상을 하나 알게 됐습니다. 명칭도 생소한 수관기피 현상(Crown Shyness)입니다. 

 

 

사진처럼 나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무리 가까이 다가가더라도 서로의 수관을 건드리지 않고 경계를 유지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소나무에서 발견되는데 지난 1920년대에 발견돼 계속 연구가 이어졌지만 현재까지 명확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하네요. 

 

몇 가지 가설 중 하나는 공생을 위해 햇볕을 골고루 받으려는 나무들의 전략이라는 것입니다. 빛의 세기 변화를 감지에 근처에 나무가 있으면 그 방향으로 가지를 뻗지 않는다는 얘기죠. 

 

이 외에도 숲 꼭대기에서 부는 바람 탓에 인접한 나무들의 가지들이 마모로 끊겨서 이런 현상이 생겼다, 땅속 화학물질을 통한 의사소통 중 하나라는 가설도 있습니다. 

 

저는 그중 첫 번째 가설이 가장 마음에 들어오는데요. 서로가 서로를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거리를 두며 살아가는 모습이 현재의 우리보다 더 낫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고 있는데요. 다만 강도는 달라졌죠. 지난 4주간 지속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실물경제 침체, 국민 피로도 누적으로 다음 달 5일까지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 중입니다. 이에 정부는 실내 밀집시설을 제외한 야외 공공시설, 무관중 스포츠 경기, 시급한 채용시험 등을 운영을 재개했고요. 

 

최근 닷새째 신규 확진자가 10명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절대 안심할 단계는 아닙니다. 특히 이 기간에 있는 황금연휴에 여행이나 모임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도 큰 상황인데요. 이미 제21대 총선날이나 벚꽃이 흐드러지게 폈던 주말에도 유동인구가 눈에 띄게 늘었던 사례가 있습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전날인 21일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우리 모두 나 자신이나 가까운 이웃, 길에서 마주치는 사람이 무증상 감염자일 수 있다는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습니다. 

 

국내 전체 확진자 중 약 30%는 진단 당시 무증상이었는데요. 전 세계로 눈을 돌려보면 이는 더 심각합니다. 지난 14일까지 보고된 중국의 무증상 코로나19 감염자는 6764명이었고요. 러시아 정부도 현재 신규 확잔자의 45%가 무증상 감염자라고 발표했습니다. 

 

치료제와 백신이 없는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는 전파를 차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역수단입니다. 앞서 말한 나무들처럼,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몸소 실천하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

 



김지윤 기자 jy1212@issueedico.co.kr
Copyright © Issueedico All rights reserved.

2024.03.28 (목)

  • 동두천 1.0℃흐림
  • 강릉 1.3℃흐림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고창 6.7℃흐림
  • 제주 10.7℃흐림
  • 강화 2.2℃흐림
  • 보은 3.2℃흐림
  • 금산 4.4℃흐림
  • 강진군 8.7℃흐림
  • 경주시 6.7℃흐림
  • 거제 8.0℃흐림
기상청 제공

상호(제호) : 이슈에디코 l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1길 18 l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5210 대표전화 : 070-8098-7526 l 대표메일 : eigig@issueedico.co.kr l 발행·등록일자 : 2018년 5월 22일 l 발행·편집인 : 정금철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은 발행·편집인이며 대표전화 및 대표메일로 문의 가능합니다. Copyright © Issueedico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