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K드라마·K팝 효과…지난해 문화예술저작권 사상 첫 흑자

 

[IE 경제] 국내 드라마, K-팝과 같은 한류 열풍에 지난해 국내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가 사상 처음 흑자를 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기업의 해외 현지법인 생산이 타격을 받아 '특허 및 실용신안권'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의 적자 폭은 늘었다. 

 

23일 한국은행(한은)이 발표한 '2020년중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18억7000만 달러 적자로 전년(-5억3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경상수지 항목 중 지식재산권 관련 국제거래 현황을 따로 모아 내는 통계를 뜻한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의 적자 폭은 커졌지만 문화예술저작권은 지난 2010년 통계편제 이후 사상 처음 흑자(1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K팝과 국내 드라마·웹툰과 같은 한류 콘텐츠 경쟁력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영상ㆍ음악 관련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이용이 크게 늘면서 국내 엔터테인먼트 업체의 저작권 수입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확산으로 영화관 등을 찾는 관객이 줄면서 외국계 영화 수입이 줄어든 것도 흑자에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특허ㆍ실용신안권 적자(23억8000만 달러)는 전년(-18억 달러)보다 적자 폭이 커졌다. 국내 대기업 특허와 실용신안권 수출이 감소한 데 비해, 상표와 프랜차이즈 수입이 수출보다 증가해서다. 미국과 베트남 등으로 이전한 국내 정보기술(IT)업체가 해외에서 받는 특허 사용료가 줄어든 영향도 컸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국내 대기업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12억5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연간 최대 흑자 기록을 경신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도 22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그러나 구글코리아와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IT기업의 국내 현지 법인이 속해 있는 외국인투자 중소ㆍ중견기업 수지는 사상 최대의 적자인 52억2000만 달러를 나타냈다. 전년(-35억 달러)도 보다 적자가 17억2000만 달러 늘었다.

 

해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유튜브ㆍ넷플릭스를 비롯한 해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저작권 명목으로 돈이 해외로 돈이 빠져나가는 탓에 해당 서비스 이용량이 많아질수록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의 적자 폭이 커지기 때문이다. 한은 측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비대면 산업이 활발해지면서 넷플릭스, 유튜브 시청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거래국가별로는 미국(-38억4000만 달러)과 일본(-3억5000만 달러) 등에서 적자였다. 중국(25억9000만 달러)의 경우 전년(20억2000만 달러)보다 흑자 폭이 커지며 베트남(17억7000만 달러)를 제치고 2년 만에 흑자 교역국 1위였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게임업체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 수출 규모가 늘어난 영향이 컸다"고 언급했다.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