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육계 가격 하락으로 원가 부담이 줄었음에도 치킨 프랜차이즈업계가 계속 제품 가격을 인상해 이익을 늘린다는 소비자단체 지적이 제기됐다.
19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7개 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지난해 매출원가율이 전년보다 낮아졌음에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고 알렸다.
협의회에 따르면 작년 프랜차이즈 납품용 육계 가격은 2023년보다 평균 7.7% 줄었고 이 가운데 매출원가는 네네치킨, 굽네치킨, BHC가 각각 17.9%, 11.8%, 9.5% 감소했다.
그럼에도 다수 브랜드가 가격을 올린 데다, 가격 정책 역시 불투명하다고 지적한 것. 협의회는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가 이중가격제를 공식화하면서도 가격 구조, 적용 기준, 가격 차이 등 핵심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혀 알리지 않았다"며 "일부 업체는 권장소비자가격조차 홈페이지에 게시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매 방식에 따라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에도 이를 명확히 알리지 않는다면 소비자의 가격 불신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
+플러스 생활정보
최근 서울 일부 교촌치킨 매장에서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순살치킨 메뉴 가격을 기존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2000원씩 인상. 이에 본사 측은 "일부 서울 지역 점주들이 자율가격제를 실시했다"며 "배달 앱을 통해 자율가격제를 실시하는 것은 가맹본부가 관여하거나 통제할 수 없다"고 설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