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와 현재의 오늘 벌어졌던 '깜'빡 놓치고 지나칠 뻔한 이슈들과 엮인 다양한 '지'식들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국방부, 계엄버스 탑승자 첫 징계
국방부가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버스에 탑승했던 군 간부에게 첫 징계 처분.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 지시로 육군본부에서 서울행 버스에 탔던 김상환 육군 법무실장에게 견책 다음 낮은 수위인 근신 처분으로 경징계. 육군본부 참모 34명이 탑승한 버스는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 후인 작년 12월 4일 새벽 3시경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서울로 출발했다가 30분 뒤 복귀. 김 실장은 이달 30일 전역을 앞두고 명예전역을 신청해 별도로 징계 처분.
이인직 '혈의 누' 발표
친일 논란의 소설가 이인직이 1906년 오늘, 자주독립·신교육 등의 주제의식을 담은 장편 소설 '혈의 누' 발표. 같은 해 7월부터 10월까지 천도교의 일간신문 만세보에 연재했던 작품이며 우리 문학사상 첫 신소설로 평가. 청일 전쟁과 엮인 10년간 여주인공 옥련의 기구한 운명을 개화기 시대상에 맞춰 써내려간 작품. 하편 '모란봉'은 1913년 2월부터 6월까지 매일신보 연재 중 미완성으로 종결.
투탕카멘 묘 발견
1922년 오늘, 이집트 중부 룩소르의 나일강 서쪽에 위치한 왕가의 계곡에서 이집트 신왕국 18왕조의 13대 파라오였던 투탕카멘 묘 발견. 발견자는 영국의 고고학자인 하워드 카터로 그 유명한 투탕카멘의 가면과 미라를 비롯, 수많은 유물 발견. 특히 현재는 괴담일 뿐인 투탕카멘의 저주까지 유명세를 타며 투탕카멘이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파라오로 등극.
애슈타 전파 납치 사건
1977년 11월 26일 오후 5시26분경 영국 ITN 뉴스에서 정체불명의 남성이 전파를 하이재킹한 후 인류와 세상의 운명에 대해 경고하며 재앙 회피 방법을 언급. 전파납치가 알려지지도 않았던 때에 방송국 관계자들도 6분간 이 사실을 전혀 모른 채 방송. 의문의 남성은 자신을 애시타라는 은하의 사령부 대변인 브릴론으로 지칭. 관련 의혹을 부인하던 UFO 신봉자 조지 반 타셀이 사망하고 증거도 찾지 못해 끝내 미상의 사건으로 마무리.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