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E 금융] 최근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타는 동시에 '빚투'(빚내서 투자) 사례가 늘고 있자 금융투자협회(금투협)와 한국거래소(거래소)가 주의를 당부했다.
17일 금투협과 거래소는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전년 말 15조8000억 원 대비 49%가량 증가한 23조 원을 넘어섰다"며 "일부 투자자에게는 레버리지 투자가 부적합할 수 있기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알렸다.
신용거래융자는 고객이 증권사에서 미리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행위인데, 상승장 때 대출을 이를 지렛대(레버리지) 삼아 수익을 늘릴 수 있다. 다만 이때 산 주식은 대출 담보가 되며 주가가 내려가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 증권사에 의해 강제 매도(반대 매매)될 위험성이 있다.
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코스피지수는 연초 2398.94포인트 대비 52% 상승했으며 코스닥지수도 26% 뛰었다. 이 기간 투자자 예탁금은 57조1000억 원으로 80조 원 늘어났으며 코스피 시가총액은 1963조5000억 원에서 3000조 원을 넘어섰다.
이처럼 국내 증시가 호황을 띄자 신용융자로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특히 청년층과 50~60대 투자자 사이에서 신용거래융자를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두 기관은 "상환능력을 초과하는 레버리지 거래는 자제하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단기간에 자금 수요가 있는 경우 신용융자 등을 활용하는 기법은 지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미중 갈등 등 대외 변수와 주식시장의 지속적 상승에 따른 단기 조정 가능성 등이 제기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런 시기에는 특히 신용융자의 활용에 더 신중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또 증시 과열 이후 '이슈 종목'을 빚내서 투자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런 거래에 대한 주의도 요구했다.
금투협·거래소는 증권사에 신용융자 확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와 현황 감시, 신용거래 불가 종목 관리 등 소비자 보호 조처를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동시에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해 강력한 대응책을 펼칠 예정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무리한 투자를 부추기는 사기나 풍문 유포가 의심될 경우 '불공정거래 신고센터(https://stockwatch.krx.co.kr, 1577-0088)에 신고하는 게 좋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