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고결한 귀결, 士字의 근본

4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체로 좋아하지 않는 숫자 4가 들어간 달이지만 초록의 초로(草露)를 연상케 하는 시기인지라 가슴 한 쪽이 맑아지는 듯 시린 느낌도 드네요. 박사, 의사, 변리사, 판사 등 전문성을 갖춘 정예 이미지와 이와는 대조적으로 사기꾼의 이미지가 공존하는 '사'자지만 적어도 어제 하루만큼은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줬습니다.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 - 사내 대장부가 집을 떠나면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


1932년 4월29일 오전 11시40분경, 중국 상하이 훙커우 공원(지금 루쉰 공원)에서 독립운동가 윤봉길 의사가 수통폭탄을 5m 거리의 단상에 던져 상하이 파견군 총사령관과 상하이 일본거류민단장을 처단했습니다. 자결용 도시락폭탄이 불발해 붙잡힌 윤 의사는 결국 같은 해 12월19일 오전 가나자와 육군형무소에서 총살형으로 순국하셨고요.

 

이를 기려 어제 오전 11시 국가보훈처는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강당에서 상하이 의거 91주년 기념식, 윤 의사 출생지인 충남 예산군 충의사에서는 같은 날 오전 10시 기념 다례를 전개했습니다. 중국 상하이 현지에서는 현지시각으로 28일 오전 10시 루쉰 공원 매헌기념관 광장에서 기념식을 개최했고요. 

 

 

60여 년의 시간이 흐른 1991년 4월29일, 전남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박승희 열사는 노태우 정권 퇴진 결의대회 중 노태우 정권 타도를 외치며 분신해 분신정국의 기점이 됐습니다.

 

나라를 위해 한 몸을 희생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의사(義士)와 열사(烈士)로 나뉘는 이유는 뭘까요? 일단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열사는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해 싸운 사람', 의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가진 의로운 사람'으로 정의됩니다.

 

우리나라의 호국보훈 업무를 관장하며 오는 6월 국가보훈부로 승격을 앞둔 국가보훈처의 정의는 열사의 경우 '직접적인 행동 대신 강력한 항의의 뜻을 자결로써 자신의 굳은 의지를 내보인 사람', 의사는 '성패에 관계없이 목숨을 걸고 무력으로써 적에 대한 거사를 결행한 사람'입니다.

 

그러면서도 국가보훈처는 민간이나 학계에서 의사와 열사를 통념상 구분하지만, 그 기준이 통용되는 것은 아니라며 의사, 열사 구분 없이 독립유공자로 표기하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만 나눈다고 제언하네요.

 

1985년 1월1일 국가보훈처로 승격하기 전까지 해당 업무를 맡았던 원호처 내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는 열사를 '직접 행동은 안 했어도 죽음으로 정신적인 저항의 위대성을 보인 사람', 의사는 '주로 무력으로 행동을 통해서 큰 공적을 세운 사람'으로 구분했고요.

 

세 곳의 의견을 종합하면 의사는 안중근, 이봉창, 이재명, 박차정, 최수봉 등, 열사 범주에는 이준, 유관순, 전태일, 박종철, 이한열 등이 포함되니 딱히 어색한 부분은 없습니다. 다만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후의 인물에게는 의사 칭호를 거의 붙인 바가 없지만, 열사는 비교적 근자에도 나왔다는 차이가 있군요.

 

여기서 그치는 게 아니라 우국충정의 정의를 기리는 호칭은 또 있습니다. 나라와 민족을 위해 제 몸 바쳐 일하려는 이로 지식, 사상, 의지, 항거를 적극 관철하고 퍼뜨리는 분들을 뜻하는 지사(志士), 역시 국가를 수호하고자 앞장서 투쟁하는 열사, 의사, 지사 모두 통칭하는 투사(鬪士)인데요. 지사의 경우 권기옥, 박은식, 신채호, 이상설 등의 인물이 여기 속합니다.

 

5월이 지나면 다시 호국보훈의 달인 6월이 찾아옵니다. 그때 다시 이 글이 독자 여러분께 읽히기를 희망합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