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새 관세 정책 국제 사회에 긴장이 감돌고 있습니다.
앞서 2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미국과의 교역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여기 더해 무역흑자 규모가 큰 개별 국가의 경우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을 알렸는데, 우리나라 상호관세 비율은 25%, 중국은 34%, 대만 32%, 유럽연합(EU), 20%, 일본 24% 등입니다.
이에 중국은 질세라 이달 10일부터 미국산 상품에 대해 미국과 같은 34%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는데요. 미국 역시 이 같은 보복관세에 대응해 9일(현지 시각)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총 104%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누적된 관세를 포함한 수치인데, 기존 10%+10%+34%에 이어 이번에 50% 추가관세까지 더해진 것인데요. 백악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중국의 보복은 명백한 실수"라며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돌려주는데, 이것이 104%의 관세가 시행되는 이유"라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약 중국이 고개를 숙이고 미국에 연락한다면 이 같은 관세 시행을 접겠다는 뜻도 내비쳤고요.
그러나 중국은 '단호히 반대한다'며 목소리를 높이면서 현재까지 양국 간 협상 재개에 대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습니다.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정치적 무기'로 꼽히는데요. 관세를 단순한 경제 정책 수단이 아닌, 외교·정치적 주도권을 잡기 위한 지렛대로 활용했는데요. 더욱이 ▲미국 내 제조업 부활 ▲미국 내 일자리 창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라는 자신의 메시지를 구체화할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 퍼포먼스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미국 소비자와 기업이 부담을 떠안게 됐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만약 중국산 부품이나 원자재에 관세가 붙을 경우 미국 내 제품 가격이 오르기 때문입니다.
관세는 쉽게 말해서 수입 제품에 붙는 세금인데요. 예를 들어 미국 기업이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중국에서 100달러의 부품을 들여올 때 50% 관세가 붙으면 실제 150달러를 주고 사와야 합니다. 그러면 그 비용은 제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가격을 전가할 가능성이 높고요.
그러나 트럼프 정부는 충분히 미국 내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상호관세 발효 전날 "미국이 스마트폰을 생산할 노동력과 자원 등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는데요.
레빗 대변인은 "애플은 미국에 50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애플이 미국에서의 제조 가능성을 믿지 않았다면 그렇게 큰 금액을 투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의 말처럼 애플은 앞서 향후 4년간 미국에 투자 계획을 내놨는데요. 그러나 이는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투자지, 제조 투자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번 중국 상호관세에 따라 아이폰 최상급 플래그십 '아이폰16 프로 맥스 1TB'가 현재 1599달러(약 237만 원)에서 2300달러(약 341만 원)까지 뛸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고요.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부과로 벌어진 미중 간 갈등에 예의주시하며, 공급망 혼란과 가격 상승과 같은 후폭풍을 우려하는 분위기입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