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격문으로 전했소… 인산일에 만세운동 치른다는 그 소식

 

오늘은 일제강점기 당시 국내 3대 독립운동 중 하나인 6·10 만세운동의 97주년 되는 날입니다. 지난 1926년 독립운동가 권오설을 축 삼아 운동지도부를 꾸린 후 '6.10 투쟁특별위원회'를 설치하며 전국적·전민중적 항일운동을 위해 순종 황제 인산일(因山日)에 세 갈래로 나뉜 만세운동을 전개했습니다.

 

당초 5월1일이 예정이었으나 4월26일 순종 황제가 세상을 떠나면서 장례일인 6월10일로 날짜를 바꿨고 5만 매의 격문을 만들어 천주교당에 숨겼습니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중국 돈 위조 사건이 발생해 일본 경찰이 주변 인쇄소들을 수색하면서 계획이 발각된 것은 물론 권오설 등 주동자들이 체포됐습니다.

 

하지만 중앙고보(지금 중앙고등학교) 이선호, 연희전문학교(지금 연세대학교) 박하균 등을 위시한 사직동계는 격문 1만 매, 중앙고보 박용규, 중동학교(지금 중동고등학교)의 김재문 등의 통인동계는 격문 5000매를 만들어 결국 큰일을 성사시켰죠.

 

만세운동에 적극 동참한 학생들이 사전작업으로 격문을 배포할 당시 일본 경찰들의 삼엄한 검문이 있었으나 팔다리, 몸통 곳곳에 숨기가나 서적처럼 위장하며 거사에 일조했습니다. 

 

만세운동 당일 오전 8시30분께 일제의 삼엄한 감시 와중에 23세 청년 이선호의 '대한독립만세' 선창을 신호로 태극기를 흔들며 나선 중앙고보생들의 만세 제창 및 격문 살포가 이어지며 위대한 항일운동은 들불처럼 전국에 번졌습니다. 이때 격문 인쇄는 천도교가 담당했고요. 

 

지금까지 격문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6·10 만세운동을 짚어봤습니다. 국어국문학자료사전에 기재된 격문(檄文)은 중국 문체의 한 종류로 격 또는 격서라고도 합니다. 세상사람들을 선동하거나 의분을 고취하려고 쓴 글이라는 내용도 있고요. 과거와 다르지 않게 요즘도 정치사회적인 문제가 시위를 야기할 때 격문을 써 낭독하거나 노래로 만들어 부르기도 하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보면 격문의 개념은 사람들을 선동하거나 의분을 고취하려고 쓴 문서입니다. 고대 중국부터 문자 보급을 시작한 삼국시대에도 격(檄) 또는 격서(檄書)라 칭했는데 전쟁 또는 내란 시기 군병 모집, 아군 사기진작과 응원, 적군 항복 권유 등에 많이 이용됐다고 합니다. 

 

급히 여러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각 곳에 보내는 글까지 포괄하는 만큼 공지·공고·게시문이나 대자보, 벽보 등도 격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죠.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