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금융] 지난해 보험계약 10건 중 3건이 2년 안에 해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설계사들에게 수수료 선지급 기간이 종료되는 3년 이후 유지율은 50%로 뚝 떨어졌다.
22일 금융감독원(금감원)이 발표한 '2024년 보험사 판매채널 영업 효율 및 감독 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계약 유지율은 1년(13회차) 87.5%, 2년(25회차) 69.2%로 계약 중 30%가 2년 내 해지됐다. 2년차 유지율의 경우 싱가포르(96.5%), 일본(90.9%), 미국(89.4%) 등 주요국과 비교해 20%포인트(p) 이상 낮다.
특히 설계사의 수수료 선지급 기간이 종료되는 3년(37회차) 유지율은 54.2%였으며 4년차 50.0%, 5년차 유지율은 46.3%였다.
생명보험의 경우 저금리 시점이었던 2021년에 가입한 저축성 보험 해지와 같은 이유로 3년차 이후부터 방카슈랑스(은행 창구를 통한 보험상품 판매) 채널 유지율이 2년차 67.7%에서 3년차 37.3%로 급격히 하락했다.
보험사 전속 설계사와 법인 영업대리점(GA) 채널의 1년 유지율은 각각 87.7%와 88.3%였지만, 3년차 이후 50%대로 하락했다. 다만 보험 가입자가 직접 상품을 선택하는 사이버마케팅(CM)채널은 장기 유지율은 66.1%로 집계됐다.
이에 금감원은 높은 수수료를 선지급하는 영업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선지급 수수료 지급 한도를 부여하고 다년간 분할 지급하는 유지·관리 수수료를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개편안은 상반기 안에 발표된다.
이와 함께 유지율이 미흡한 보험사는 낮은 유지율에 대한 원인 분석과 유지율 개선 계획을 요구하고 유지율을 보험사 감독·검사의 주요 관리 지표로 설정해 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보험설계사 수는 65만1256명으로 전년보다 4만7282명 증가했다. 이들의 월 평균소득은 338만 원 수준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금융당국이 보험 판매수수료 개편을 예고한 가운데 GA협회가 강력하게 반발. 이 협회는 개편 반대 서명운동에 13만 명이 넘는 설계사가 참여했다고 설명.
협회는 "개편은 심각한 생계 불안정을 초래할 것"이라며 "설계사와 소비자 간의 신뢰 관계가 훼손될 수 있다"고 주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