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디다스 - 아돌프 아디(별칭) 다슬러 / 아르마니 - 조르지오 아르마니 / 에르메스 - 티에리 에르메스 / 에스티 로더 - 에스티 로더 / 오티스 엘리베이터 - 엘리샤 오티스 / 월트 디즈니 컴퍼니 - 월트 디즈니 / 웬디스 - 웬디 토머스 / JP모건 체이스 - 존 피어폰트 모건, 새먼 포틀랜드 체이스 / 지방시 - 위베르 드 지방시 / 질레트 - 킹 캠프 질레트 / 카르티에 - 루이프랑수아 카르티에 / 캐리어 - 윌리스 하빌랜드 캐리어 / 켈로그 - 존 하비 켈로그, 윌 키스 켈로그 / 크라이슬러 - 월터 크라이슬러 / 크래프트 하인즈 - 제임스 루이스 크래프트, 헨리 존 하인즈 / 크리스챤 디올 - 크리스티앙 디오르 / 테슬라 - 니콜라 테슬라 / 티파니 - 찰스 루이스 티파니 / 파가니 - 호라치오 파가니 / 파텍 필립 - 안토니 파텍, 아드리앙 필립 / 페라리 - 엔초 페라리 / 페레로 - 피에트로 페레로 / 포드 - 헨리 포드 / 포르쉐 - 페르디난트 포르쉐 / 포스트 - 찰스 포스트 / 프라다 - 마리오 프라다 / 피에르 가르뎅 - 피에르 가르뎅 / 필립스 - 안톤 필립스, 제라드 필립스 / 하만 카돈 - 시드니 하만, 버나드 카돈 / 허쉬 - 밀튼 스네이블리 허시 / 화이자 - 찰스 파이저 / 휴렛팩커드 - 윌리엄 레딩턴 휼릿, 데이비드 패커드 (출처 : 각 업체)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에버랜드가 겨울철 운행을 중단했던 스릴 어트랙션들을 순차 가동. 티익스프레스가 지난 11일부터 재가동을 시작한 가운데 아마존익스프레스, 썬더폴스 등도 오는 24일과 3월 1일 각각 개장. 이 중 티익스프레스는 놀이기구 건설비용으로 360억 원 소요. 건설비용에는 기존 놀이기구·건축구조물의 철거 및 보완, 관계자 및 관련 동물 이동, 무대·기구 등 디스플레이 세팅, 운영준비, 마케팅 비용 등 포함. -다음은 국내 주요 테마파크 놀이기구 건설비용 1위부터 10위. 1위 '560억 원' 파라오의 분노 - 롯데월드 어드벤처 2002년 건설에 들어가 2005년 12월16일 정식 개장. 롯데월드 어드벤처는 물론 우리나라 테마파크 전체에서 어트랙션 투자 금액 1위. 2위 '500억 원' 로스트 밸리 - 에버랜드 에버랜드가 2013년 4월20일 문을 연 이래 2019년 4월8일 로스트 밸리 와일드 로드라는 이름으로 재개장. 초식동물을 구경하는 사파리 어트렉션. 3위 '360억 원' 티익스프레스 - 에버랜드 2008년 3월14일 개장한 에버랜드의 대표 롤러코스터 어트랙션. 나무 기구의 희귀성과 압도적 트랙 길이 및 탑승 시간으로 국내 롤러코스터 중 최고 인기. 4위 '350억 원' 아트란티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롯데월드에서 최장 대기줄의 어트랙션으로 2003년 10월26일 개장. 높이는 낮지만 최대 낙하 높이·속도 감안 시 후렌치 레볼루션, 패밀리 코스터보다 강도 우위. 5위 '300억 원' 플라이 벤처 - 롯데월드 어드벤처 2016년 12월23일 개장한 4D 극장형 어트렉션. 롯데월드 어드벤처에서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어트랙션으로 큰 인기는 없지만 스팀펑크 분위기의 구성이 일품. 6위 '180억 원' 드라켄 - 경주월드 어뮤즈먼트 2018년 5월1일 선보인 경주월드 롤러코스터로 대한민국 첫 다이브코스터이자 최고 낙하 높이·각도·속도 자랑. 낙하 높이는 전 세계 다이브 코스터 중 세 번째. 7위 '150억 원' 환타지 드림·파에톤 – 롯데월드·경주월드 1993년 1월20일, 2007년 5월5일 각각 개장. 환상 세계를 여행하는 다크라이드인 환타지 드림은 대형 애니매트로닉스가 장점. 파에톤은 드라켄과 양대 축인 인버티드 롤러코스터. 8위 '140억 원' 신밧드의 모험·썬더폴스 - 롯데월드·에버랜드 1990년 1월15일, 2015년 7월31일 각각 개장. 아리아나 공주를 구하는 다크라이드 신밧드의 모험은 소소한 즐거움으로 지속적인 인기 구가. 썬더폴스는 기존 후룸라이드의 대체작. 9위 '100억 원' 혜성특급·자이로드롭·드래곤 와일드 슈팅·와일드 투어 - 롯데월드 어드벤처 1995년 1월27일, 1998년 4월11일, 2013년 7월23일, 2014년 12월19일 각각 개장. 혜성특급은 다크라이드 롤러코스터로 우주 열차의 자유로운 질주가 콘셉트. 자이로드롭은 매직아일랜드에서 세계 첫 오픈. 드래곤 와일드는 탑승객이 싸우는 슈팅 다크라이드. 와일드 투어는 신비한 지하 세계를 누비는 테마존 모험. 10위 '51억 원' 아마존 익스프레스 - 에버랜드 자연농원 시절인 1994년 4월10일 독일에서 들여와 처음 관객을 만난 아마존 익스프레스는 10인승 원형 특수 보트에 탑승해 밀림을 탐험하는 래피드 어트랙션. ※ '65억 원' 로봇 팩토리움 - 경남 마산로봇랜드 원래 2019년 9월7일 개장한 경남 마산로봇랜드의 로봇 팩토리가 65억 원으로 10위였으나 두 달 만에 발생한 사고 탓에 폐장. 이후 작년 12월 3D맵핑·VR관인 로봇팩토리움으로 리뉴얼.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
LA레이커스의 르브론 제임스(38)가 우리 시각으로 8일 오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크립토닷컴 아레나에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와 홈경기로 만나 NBA 개인 통산 최다 득점 기록 경신. 이날 선발 출전한 르브론은 3쿼터 종료 10.9초를 남기고 전매특허인 페이드 어웨이슛을 성공시키며 통산 3만8388득점 기록. 카림 압둘 자바가 1984년 윌트 체임벌린의 기록을 넘어선 이후 39년 만으로 압둘 자바의 레코드 3만8387득점 경신. 이 경기 최종 득점은 38점으로 총합 3만8390득점 기록. 다만 팀은 아쉽게도 130-133 3점차로 패배. 올 시즌 성적 25승30패로 서부 콘퍼런스 13위에 그쳐 사실상 플레이오프 진출은 요원한 상황. 다음은 NBA 통산 개인 득점 순위 1위부터 10위까지.(자료 출처 : NBA 레퍼런스) 1위 르브론 제임스 3만8390점 2위 카림 압둘자바 3만8387점 3위 칼 말론 3만6928점 4위 코비 브라이언트 3만3643점 5위 마이클 조던 3만2292점 6위 더크 노비츠키 3만1560점 7위 윌트 체임벌린 3만1419점 8위 줄리어스 어빙 3만26점 9위 모제스 말론 2만9580점 10위 샤킬 오닐 2만8596점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골드만삭스 - 마르쿠스 골드만, 사무엘 삭스 / 구찌 - 구찌오 구찌 / 굳이어 - 찰스 굿이어 / 네슬레 - 앙리 네슬레 / 다이슨 - 제임스 다이슨 / 델 - 마이클 델 / 돌체 앤 가바나 - 도메니코 돌체, 스테파노 가바나 / 람보르기니 -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 록히드 마틴 - 앨런 록히드, 말콤 록히드, 글렌 마틴 / 롤스로이스 - 찰스 롤스, 헨리 로이스 / 루이 비통 - 루이 비통 / 르노 - 루이 르노, 마르셀 르노 / 마세라티 - 알피에리 마세라티 / 맥도날드 - 리처드 제임스 맥도날드, 모리스 제임스 맥도날드 / 마이바흐 - 빌헬름 마이바흐 / 미쉐린 - 에두아르도 미슐랭, 앙드레 미슐랭 / 발렌시아가 - 크리스토발 발렌시아가 / 발렌티노 - 발렌티노 가라바니 / 배스킨라빈스 - 버트 배스킨, 어브 라빈스 / 벤츠 - 칼 벤츠 / 뱅 엔 올룹슨 - 페테르 뱅, 스벤 올룹슨 / 버버리 - 토마스 버버리 / 베레타 - 바르톨로메오 베레타 / 벤틀리 - 월터 오웬 벤틀리, 호레이스 밀너 벤틀리 / 부가티 - 에토레 부가티 / 보잉 - 윌리엄 에드워드 보잉 / 생 로랑 - 이브 생 로랑 / 샤넬 - 코코 샤넬 / 세스나 - 클라이드 세스나 / 쉐보레 - 윌리엄 셰브럴레이 / 스미스 & 웨슨 - 호러스 스미스, 다니엘 베어드 웨슨 / 시트로엥 - 앙드레 시트로엥 (출처 : 각 업체)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2017년 손상화폐 3조7693억 원. 은행권(지폐) 3조7668억 원, 주화 25억 원. 은행권 폐기 장수 5억3000만 장. 낱장으로 쌓았다고 가정할 경우 에베레스트산 높이(8849m) 6배 정도. 2018년 손상화폐 4조2613억 원. 은행권 4조2590억 원, 주화 23억 원. 은행권 폐기 장수 5억9000만 장, 낱장으로 쌓았다고 가정할 경우 에베레스트산 높이 7배 정도. 2019년 손상화폐 4조3540억 원. 은행권 4조3516억 원, 주화 24억 원. 은행권 폐기 장수 6억1000만 장. 낱장으로 쌓았다고 가정할 경우 에베레스트산 높이 7배 정도. 2020년 손상화폐 4조7644억 원. 은행권 4조7614억 원, 주화 30억 원. 은행권 폐기 장수 6억850만 장. 낱장으로 쌓았다고 가정할 경우 에베레스트산 높이 7배 정도. 2021년 손상화폐 2조423억 원. 은행권 2조366억 원, 주화 57억 원. 은행권 폐기 장수 3억4419만 장. 낱장으로 쌓았다고 가정할 경우 에베레스트산 높이 3배 정도. 2022년 손상화폐 2조6414억 원. 은행권 2조6333억 원, 주화 82억 원. 은행권 폐기 장수 3억5671만 장. 낱장으로 쌓았다고 가정할 경우 에베레스트산 높이 3.5배 정도.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
유명세가 있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와 브랜드(서브 브랜드 포함) ◇BMW(독일) ◆롤스로이스 ◆미니 ◇폭스바겐그룹(독일) ◆람보르기니 ◆벤틀리 ◆부가티 ◆아우디 ◆포르쉐 ◆MAN ◆스카니아 ◇스텔란티스(다국적) ◆푸조 ◆시트로엥 ◆페라리 ◆피아트 ◆마세라티 ◆크라이슬러 ◆닷지 ◆지프 ◆알파 로메오 ◆오펠 ◇GM(미국) ◆GMC ◆뷰익 ◆쉐보레 ◆캐딜락 ◇포드 모터 컴퍼니(미국) ◆링컨 ◇타타그룹(인도) ◆재규어 ◆랜드로버 ◇볼보그룹(스웨덴) ◆맥 트럭 ◇르노(프랑스) ◆알핀 ◇저장지리홀딩그룹(중국) ▲볼보 ◇애스턴 마틴(영국) ◇메르세데스 벤츠(독일) ◇지금은 자취를 감춘 브랜드들 ▲사브 ▲플리머스 ▲AMC ▲머큐리 ▲새턴 ▲폰티악 ▲허머 ▲지오 ▲터커 (자료 출처 : 각 업체)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지구촌 첫 새해맞이 - 서태평양 키리바시 ◇아시아 첫 새해맞이 - 러시아 추코트카 자치구 ◇유럽 첫 새해맞이 -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지역 ◇아프리카 첫 새해맞이 - 소말리아 ◇아메리카 첫 새해맞이 - 그린란드 (자료출처 : 외교부 및 위키백과) 우리 시각 기준으로 1월1일 오후 9시께 전 세계 날짜 변경이 모두 끝나 지구촌 새해맞이 완료. 경도 0도의 기준점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 180도 반대편(경도 180도)인 북극과 남극 사이 태평양 바다 위에 세로로 그은 가상의 선 '날짜변경선' 기준.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전 세계 새해맞이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사이트. 오른쪽 소괄호 클릭 시 이동. (뉴 이어 맵)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동어 반복은 같은 의미가 있는 단어(이음동의어)를 반복해 사용하는 것인데 겹말이나 첩어(疊語), 유의어 반복으로도 통칭. 동의어를 반복하는 것은 강조의 의미가 있다손 치더라도 동어 반복은 불필요한 반복으로 여기는 만큼 효율적인 한국어 사용을 위해 쓰지 않는 것이 바람직. 이번 편은 이응부터 히읗까지. ㅇ 아는 지인 / 아래로 내리다·위로 올리다 / 아직 미정·시기상조 / 아침조회 / 안에 내장하다 / 앞으로 전진, 뒤로 후진 / 야밤 / 의사선생님 / 약수물 / 양옥집 / 어떤 모종의 / 어려운 난국·어려운 난제 / 어린 아이·소년·소녀 / 어촌마을 / 여태까지 / 역전 앞 / 영지버섯 / 오직 하나 / 옹기그릇 / 완두콩 / 요즘 근황 / 운지버섯 / 유언을 남기다 / 육고기 / 음악 소리 / 의붓아버지 / 이름 호명 / 인수받다 ㅈ 자기 몸·스스로 / 장인어른 / 전류가 흐른다 / 전부 다 / 전선줄 / 절반으로 나누다 / 접수를 받다 / 재미있게·즐겁게 즐기다 / 조금 이따 / 지워 없애다 / 제기그릇 / 중국당면 / 중력의 힘 / 지나가는 과객 / -지 손가락·발가락 / 짧고 간결하다 ㅊ 처갓집 / 천도복숭아 / 초가집 / 최근 근황 / 최초 / 침묵에 잠기다 ㅌ 탄신일 ㅍ 판이하게 다르다 ㅎ ~하고 있는 중 / ~하기 전에 먼저 / 하루 종일 / 하얀 소복 / 한옥집 / 허송세월을 보내다 / 해변가 / 혈흔자국 / 혼자 독차지하다 / -화(化) 하다 / 흰 백합 / 흉터 자국 / 향내음 / 현안 문제 ㄲ 깡(can)통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지난달 통신시장 번호이동이 66만 건으로 집계된 가운데 KT와 LG유플러스로 발길을 돌린 SKT 고객이 약 17만 명이었다. 1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달 SKT, KT, LG유플러스, 알뜰폰(MVNO) 간 총 번호이동 가입자 수는 66만6618명을 기록했다. 이는 SKT 해킹 사고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 3월(52만5937명)보다 26.7% 증가한 수치다. 올 1월만 해도 49만 명 수준이던 번호이동 가입자는 해킹 사고가 발생한 4월 70만 명에 육박했으며 5월에는 90만 명을 뛰어넘었다. 이들 통신사 가운데 LG유플러스가 가장 큰 수혜를 입었다. 지난달 SKT에서 LG유플러스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는 지난달 8만7774명이었다. 이 기간 KT로 옮긴 SKT 고객도 8만2043명이었다. SKT에서 알뜰폰으로 이동한 수치는 전월보다 55.84% 줄어든 3만8030건이었다. 이와 달리 KT, LG유플러스, 알뜰폰에서 SKT로 번호이동한 고객은 각각 3만2316명, 3만8741명, 2만6508명이었다. 이는 해킹 사고 이후 유심(USIM) 무상 교체에 집중하라는 의미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신규 가입을 막았기 때문. 그
[IE 산업] GS25가 KT, LGU+(LG유플러스)에 이어 SK텔레콤(SKT)과 함께 통신 3사 멤버십 할인 완성. 1일 GS리테일에 따르면 GS25는 SKT와 이날부터 T 멤버십 할인 혜택 선사. 이로써 이 편의점은 KT, LG유플러스에 이어 SKT까지 국내 통신 3사 멤버십 할인 혜택을 모두 제공. 이번 제휴를 통해 GS25는 SKT T 멤버십 고객에게 매주 화요일 도시락·김밥·주먹밥·샌드위치·햄버거 등 FF(Fresh Food) 전 상품을 대상으로 멤버십 즉시 할인. 할인 방식은 1000원당 200원, T 멤버십 전 등급 동일 조건으로 일 1회, 할인 금액 기준 최대 2만 원까지 할인 가능. 앞서 GS25는 지난 2023년 4월부터 SKT와 함께 Z세대를 타깃으로 한 '0 day 프로모션'을 진행. 해당 프로모션에서 GS25 쿠폰은 매월 빠르게 소진될 정도로 큰 호응. 향후 양 사는 할인 혜택 대상 품목을 확대하고 T 멤버십 협업 상품 및 다양한 프로모션도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GS25 타 이동통신사 제휴를 보면 KT, LG유플러스 앱에서 GS25 할인 쿠폰 발급 가능. 또
[IE 금융·산업] 비바리퍼블리카가 운영하는 토스와 세븐일레븐이 제휴 멤버십 서비스 '더블패스'를 출시. 1일 양 사에 따르면 더블패스는 만 14세 이상이면 누구나 토스 애플리케이션(앱)에서 무료로 가입, 할인 혜택을 받는 멤버십 서비스. 가입 고객은 전국 세븐일레븐 매장에서 상품 구매 시 토스페이로 결제하면 5% 즉시 할인. 토스페이 결제 수단 가운데 토스머니 또는 계좌로 결제할 시 결제 금액 5%를 토스포인트로 적립도 가능. 적립된 포인트는 토스페이 결제 시 1포인트당 1원으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음. 단 주류 및 담배는 할인∙적립 대상에서 제외되며 1일 1회 각 5000원까지 혜택 선사. 이 외에도 양 사는 지난 5월부터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세븐일레븐 뉴웨이브오리진점에서 '토스 페이스페이'를 시범 운영 중. 토스 페이스페이는 사전에 얼굴 정보와 결제 수단을 등록하면 편의점 계산대에 비치된 전용 단말기에 얼굴을 인식해 결제하는 방식. 올 하반기부터 페이스페이 결제 가능한 매장은 전국 세븐일레븐 전 지점으로 확대할 예정.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토스 페이스페이는 올해 본격적으로 도입된 서비스로 얼굴 데이
과거와 현재의 오늘 벌어졌던 '깜'빡 놓치고 지나칠 뻔한 이슈들과 엮인 다양한 '지'식들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특검, 윤석열 2차 소환조사 통보 '12·3 비상계엄'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오늘 오전 9시,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소환조사를 통보했으나 전일 저녁 윤 씨 측이 건강 문제를 거론하며 불출석 언급. 특검은 별도 일정 변경 사유는 없으며 정당한 사유 없이 조사에 응하지 않을 경우 체포영장 청구 등 형사소송법상 강제 절차를 실시한다는 방침. 오늘 조사에서는 체포 영장 집행 방해, 비화폰 정보 삭제 혐의 등을 다룰 것으로 관측됐으나 결국 무산. 전국 1000여 헬스·수영장 이용 시 소득공제 오늘부터 전국 1000여 개 헬스장·수영장 시설이용료에 최대 30%까지 소득공제. 문화비 소득공제는 그간 도서, 공연, 박물관, 미술관, 신문, 영화 등 주로 문화예술 분야에 적용했으나 체육 분야까지 공제 대상 확대. 이에 따라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는 해당 시설이용료 30%를 최대 300만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로 환급. 다만 입장료(일간, 월간)는 전액 인정해도 강습료 등은 전체 금액 절반만 인정. 또 시설 내 운동용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