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2024 'KB굿잡 취업박람회' 성황…가지 못했다면?

 

[IE 금융] 올해로 25회째를 맞이한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가 27일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열렸다. 

 

이날 KB금융에 따르면 이 박람회는 지난 2011년 청년 구직자의 고용 활성화, 중소기업 구인난 해소를 위해 시작됐는데, 총 누적 방문자 수는 118만 명에 이른다.

 

해당 박람회는 단일 규모 중 국내 최대 취업박람회로 약 5300개 구인 기업이 참가했으며 9만6000여 건의 일자리 정보를 제공, 3만8000여 명의 일자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해냈다.

 

◇국내 최대 취업박람회, 성황리 개최 

 

이날 '2024 제1차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 개막식에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고용노동부 이성희 차관, KB국민은행 이재근 행장과 KB홍보모델 김연아 등이 참석했다. 

 

KB국민은행 이재근 행장은 "오늘 행사가 구직자에게는 내 일을 찾고 구인직업에게는 우수 인재를 발굴하는 기회가 돼 우리 경제 발전의 마중물로 거듭나길 기원한다"며 "앞으로도 일자리 창출은 물론, 다양한 사회공헌을 통해 국민의 평생 금융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박람회는 KB굿잡의 최대 강점인 협업기관과의 강력한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KB 우수기업, 유관기관의 우수 회원사 및 대기업 협력사와 코스닥 상장사 등 240여 개의 구인기업이 참여했다. 

 

박람회 현장에는 ▲면접관 입장에서 모의면접을 진행하는 면접 스터디존▲취업컨설팅관 ▲박람회 참가기업의 채용설명회 및 전문가 특강으로 구성된 취업특강&채용설명회관▲군간부 채용관 ▲직업체험관 ▲KB 소호 컨설팅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됐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서는 '기업컬처존'을 시범 운영하며 눈길을 끌었다. 이는 직무 적합성보다 문화 적합성을 통해 인재를 채용하는 트렌드인 '컬처핏'을 반영했다. 직원 복지를 포함한 기업 문화와 비전을 구직자에게 제시하는데, 채용공고 게시대에도 기업 자랑 및 한 줄 소개 강조했다.

 
한편, KB국민은행은 구인 기업을 위한 실질적인 혜택도 준비했다. 박람회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신규 정규직원 1인당 100만 원씩 기업별 연간 최대 1000만 원의 채용지원금을 지급한다. 또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에는 최대 1.3%포인트(p)의 금리 우대를 지원한다.

 

◇KB 취업박람회 외에도 다른 금융사 프로그램 '눈길'

 

만약 이번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에 가지 못했다면 다른 금융사들의 프로그램도 노려보자. 

 

IBK기업은행은 이달 28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경기도, 경기도 일자리재단, HDC현대산업개발과 함께 '경기도 일자리박람회'를 개최한다.

 

이번 일자리박람회는 기업은행 거래 우수기업, 경기도 내 우수기업, HDC현대산업개발 우수 협력사, 전략산업 협회 우수기업 등 약 100개 사가 함께하며 구직자 현장면접과 채용상담을 진행한다. 또 전략산업 현직자 멘토링, 해외취업 상담도 이뤄지며 챗GPT기반 인공지능(AI) 일자리매칭과 같은 구직자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이 은행은 이번 일자리 박람회를 통해 청년, 중장년, 해외취업, 외국인 유학생 4개 분야에서 실질적인 취업 연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중소기업 취업 매칭을 위해 경기·서울 약 20개 대학 300여 명의 유학생이 참여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일자리박람회가 전략산업 분야의 우수 기업과 경기도 우수인재를 연결하는 가교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의 '신한 커리어업'은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스타트업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던 '신한 커리어온'을 확대한 청년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올해 5기 커리어업은 총 8개 스타트업 기업이 참여했으며 1437명이 지원해 50명이 뽑혔다. 이들 참가자는 6주 동안 신입 기초 교육, 직무 교육, 사회초년생 금융교육 등을 받는다. 

 

하나금융의 '하나 파워 온 세컨드 라이프'는 하나금융이 지난 2022년 8월부터 중·장년층을 위해 진행한 신중년 재취업 지원 사업이다.

 

올해부터는 기존 수도권 지역 일자리에 집중된 사업 운영 지역을 전국 단위로 늘렸다.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해 지역의 우수 일자리를 발굴하고 지역 거주 중·장년층 취업을 지원한다. 아울러 전국 10여 개 지역에서 오프라인 취업박람회를 연다.

 

참여를 원하는 40·50대 경력 인재 누구나 하나 파워 온 사이트에서 연중 상시 신청과 수강이 가능하다. 4월부터 진행하는 오프라인 심화 교육 과정은 온라인 기초교육 16과목을 수료한 교육생 중 선발한다. 오프라인 교육 참여자는 각 일자리 과정별 맞춤형 취업 교육과 컨설팅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