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정국 혼란에 모인 금융지주…김병환 "자회사 유동성·건전성 점검…자금 운용 만전" 주문

 

[IE 금융] 금융위원회(금융위) 김병환 위원장이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을 만나 "자회사 유동성과 건전성을 점검, 기업 경제 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자금 운용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주문.

 

9일 금융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금융지주사는 대외 신인도 측면에서도 최전방에 있다"며 "외국계 금융사·투자자 등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지주사 안정성은 물론 우리 금융시스템의 회복력에 대해서도 적극 소통해 주길 부탁드린다"고 당부. 

 

이어 "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 부문의 대외 신인도 유지를 위해 주어진 책무을 다하겠다"며 "금융시장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10조 원 규모의 증시안정 펀드, 40조 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 펀드, 증권 금융의 외화 유동성 공급 등 부문별로 준비된 시장 안정 조치가 적기에 시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임.

 

이날 참석한 금융지주 회장들도 금융시장과 외환 리스크를 점검하겠다며 현재까지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 신한금융 진옥동 회장과 하나금융 함영주 회장은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도 비상 대응 체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언급.

 

우리금융 임종룡 회장은 "금융시장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라며 "금융 자회사들에 문제는 없다"고 답함. KB금융 양종희 회장과 NH농협 이석준 회장도 계열사의 유동성 문제는 없다고 제언. 

 

금융감독원(금감원) 이복현 원장도 이날 금감원 내 금융 안정과 신뢰 회복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부탁. 이 원장은 "정치 불안으로 자금 중개 기능이 위축되지 않도록 기업에 대해 빈틈없이 자금을 공급해달라"며 "외화 자금 동향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며 금융사의 충분한 외화 유동성 확보를 지도하겠다"고 약속.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외국인들은 국내 금융지주, 은행과 보험·증권 등 금융주에서 빠르게 발을 빼는 상황. 지난 4~6일 외국인들은 코스피시장에서 1조85억 원을 매도했는데, 이 가운데 약 40%가 금융업종에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