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재의 오늘 벌어졌던 '깜'빡 놓치고 지나칠 뻔한 이슈들과 엮인 다양한 '지'식들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미국,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 공식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각 2일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설을 통해 미국 정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 기존 타국 관세 및 비관세 무역 방침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은 차별을 없앤다는 명목의 상호관세는 기본관세 10%(5일 시행)와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구성. 미국 주요 무역상대국에는 기본관세 이상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만큼 그간 미국 주도의 국제 통상 질서에 큰 변화 관측.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
오늘 오전 대법원 3부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등의 혐의로 기소된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등 9명에게 모두 유죄를 선고한 원심 확정. 권 전 회장과 전주(錢主) 손 모 씨 등 9명은 지난 2009년부터 2012년 사이 차명계좌 등을 동원해 도이치모터스 주가를 조작한 혐의로 기소돼 작년 9월 항소심에서 모두 유죄 선고. 김건희 여사처럼 시세조종에 계좌가 동원된 손 씨는 1심 무죄였으나 2심에서 방조 혐의가 유죄로 인정돼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선고.
제주 4·3 사건
1948년 4월3일부터 1954년 9월21일까지의 제주도 소요사태 때 무력충돌 및 잔혹한 진압으로 주민들 희생. 보도연맹 학살사건 등과 함께 제1공화국 시기의 민간인 희생 사건으로 2019년 12월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가 추산한 민간인 희생자수는 1만4442명에서 최대 3만 명.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공식 사과문 발표에 이어 2008년 4·3평화공원 개관 후 2014년 4·3희생자추념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
민청학련 사건
1973년 8월, 김대중 납치사건이 부른 반(反)유신체제 운동에 맞서 1974년 4월3일 제4공화국 정권은 긴급조치 4호를 선포하며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을 위시해 180명 구속 기소. 박정희 정권이 반독재민주화운동세력을 탄압하고자 고문과 강압수사로 끌어낸 용공조작사건이며 180명 중 8명 사형, 주모자급 무기징역, 나머지 피고인들은 최고 징역 20년에서 집행유예 선고. 수감자들은 1975년 2월15일 대통령 특별조치로 대부분 형집행정지 석방.
/이슈에디코 김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