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M-로보야, 알아서 내 노후를 그려줘" 미래에셋운용, 퇴직연금 전용 RA 서비스 론칭

요즘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 'Chat GPT(챗 지피티)'의 인기가 뜨겁습니다. 이는 이웃집 토로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유명한 일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지브리스튜디오의 화풍으로 사진을 바꿔주는 기능이 유명해지면서인데요.

 

챗 지피티에 "내 사진을 지브리 풍으로 바꿔줘"하면 저절로 그려주고 수정사항이 있는지, 더 나아가 그 이미지에 추가로 넣을 효과나 소품을 제안하기도 하는데요.

 

이런 챗 지피티처럼 나의 연금자산을 알아서 굴려주고

생애 주기와 경제 상황에 따라 리밸린싱(조정)하는 AI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투자자들의 마음을 읽기라도 한 듯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5일 오전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RA) 기반의 'M-로보(M-ROBO)' 출시 간담회를 개최했는데요. 이는 국내 종합 자산운용사가 선보이는 최초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입니다.

 

로보어드바이저 AI와 빅데이터 기술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해 투자자 나이, 성향, 목표, 시장 상황 등을 분석해 자동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 및 운용하는 비대면 자산관리 서비스인데요.

 

 

이날 평소 언론에 모습을 잘 비추지 않은 미래에셋운용 이준용 부회장도 나와 내부에서도 M-로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언급했는데요.

 

이 부회장은 "M-로보는 단순히 정부 샌드박스 정책에 따라 만든 게 아니라, 지난 2017년부터 자체 알고리즘 기반으로 꾸준히 준비한 결과물"이라며 "노후 자산을 투자자들이 '능동적 운용'을 하기 위한 AI 솔루션으로, 빠른 시일 내 글로벌 계열사인 호주 스탁스팟, 미국 웰스스팟와의 시너지 효과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스탁스팟은 호주의 대표적인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으로 지난 2023년 8월 미래에셋운용이 지분 53%를 1700만 달러에 사들였습니다. 웰스스팟은 지난해 글로벌 AI 기반의 자산 운용 및 로보어드바이저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이 회사가 뉴욕에 설립한 곳이고요.

 

이 부회장에 이어 올해 시작된 연금 2.0시대에 M-로보가 나아가야 할 길을 발표하기 위해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연금마케팅부문 손수진 대표가 나왔습니다.

 

 

지난 3월 국회는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과 노후 소득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약 18년 만에 국민연금법을 개정했는데, 이를 연금 2.0시대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손 대표는 "2.0시대는 운용성을 중심으로 재편 중인데, 이 상황에서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확정급여형(DB) 상품에서 확정기여형(DC)과 개인퇴직연금(IRP) 상품을 선호하면서 투자 의사결정을 직접 해야 하는 흐름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그러나 투자자 대부분이 직접 운용에 부담을 느끼거나, 타깃데이트펀드(TDF)와 같은 간접투자에만 의존하는, 이른바 '중관여 고객층'에 대한 전략이 부재하다는 게 이 운용사의 설명인데요.

 

우리나라 지난해 퇴직연금 시장을 보면 DB를 제외한 규모는 750조 원입니다. 만약 미국처럼 5%가량을 로보어드바이저가 운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추정 시장 규모는 38조 원인데요. 손 대표는 "5% 정도 점유율이 작다고 볼 수 있지만,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가 필요한 중관여 투자자는 5%를 능가할 것"이라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퀀트와 로보어드바이저 역량을 통해 타깃팅 가능하다"고 제언했습니다.

 

M-로보는 투자자 연령, 성향, 목표 수익률 등을 분석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자동 설계하는 것은 물론, 시장 변화에 따라 스스로 리밸런싱하는데요. 단순하게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는 게 아니라 고액 자산가만 누릴 수 있는 1인 관리처럼 실질적인 운용을 돕습니다.

 

이 회사 AI금융공학운용부문 로보어드바이저운용본부 이창헌 본부장은 M-로보의 미래를 제시했는데요. 그는 "M-로보는 현재 12개의 AI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테마 ▲전술적 자산 ▲인컴 ▲전략적 배분 등 다양한 선택지를 제시한다"며 "기존 수수료 구조 대비 비용 효율성을 제고해 연금 수익률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또 이를 통해 '초개인화'된 투자자 맞춤형 퇴직연금 투자를 이루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는데요. 예를 들어 노후에 월 300만 원이 필요한데, 국민연금을 120~130만 원 받는 사람에게 이 격차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이죠.

 

M-로보는 가입할 때만 상품 포트폴리오를 설명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관리하는데요. 기존에는 IRP 가입자가 적립금 운용을 직접 지시해야 했지만, M-로보는 가입자를 대신해 운용을 맡은 다음 이를 투자자에게 끊임없이 설명해 준다는 방침입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우선 오는 18일 하나은행에서 M-로보 서비스를 시작하는데요. 미래에셋증권과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BNK경남은행, BNK부산은행 등과 제휴를 맺었으며 연내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