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네이버·카카오서 예적금리 비교·가입 서비스 정식 시작…5월엔 파킹·모임통장도 추가

 

[IE 금융] 네이버나 카카오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여러 금융사의 예·적금 상품을 비교하는 온라인 예금중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달에는 여기 더해 파킹통장, 모임통장과 같은 수시입출식 상품까지 서비스 라인업이 늘어난다.

 

16일 금융위원회(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11월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시범 운영한 온라인 예금중개 서비스(온라인 예금상품 비교·추천 서비스)가 정식 시작한다.

 

시범 운영 기간 금융소비자가 플랫폼을 이용해 본인에게 유리한 예·적금 상품을 탐색, 손쉽게 가입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 또 일부 플랫폼의 경우 예금상품 중개를 활용해 선불전자지급수단 충전금 은행 보관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도 운영해 호응을 얻었다.

 

예금상품 비교·추천, 가입 서비스는 하반기 도입 예정인 대면 채널(은행대리업)과 모든 비대면 채널에서도 시작된다. 현재는 대출상품에 대한 비교·추천 서비스만 대면(대출모집인), 비대면(온라인 대출상품 비교·추천 플랫폼) 채널에서 제공 중이다.

 

다만 금소법상 예금성 상품 중 은행·저축은행·신협 예금상품만 적용되며 예금자 보호가 이뤄지지 않는 CMA, 발행어음은 제외된다.

 

이와 함께 금융소비자의 상품 비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파킹통장을 포함한 수시입출식 상품까지 범위가 늘어난다.

 

세부 내용은 현행 금소법상 대출성 상품 판매중개업(온라인 대출상품 비교·추천 서비스)을 참고해 규정에 반영될 예정이다. 더불어 예금성 상품 판매중개업자가 영업 과정에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준수해야 할 규칙(영업행위 준칙)도 마련된다.

 

한편, 금융위는 금융소비자 편익 제고를 위해 내달 안에 기존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내용을 변경해 수시입출식 상품 중개를 우선 허용할 예정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현재는 9개 은행과 9개 저축은행이 4곳의 플랫폼과 각각 제휴를 맺어 예적금 상품을 판매했는데, 이번 서비스 활성화로 확대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