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슈코체크] 'STO' 히어로 연합 미래에셋증권, 특임대 꾸린 신투·한투

금융 판도 바꿀 기술의 장…관심 돌린 정치권 탓에 신호대기 걸린 증권사들

[IE 금융] 올 2월께 금융위원회(금융위)가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을 밝히자 금융투자업계 사업 판도의 큰 변혁을 직감한 증권사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 날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금융위의 당시 방안은 분산원장(블록체인)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활용해 탈중앙화 및 전자화한 증권의 발행과 유통을 허용하는 내용으로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디지털화'가 핵심이다. 금융위는 실물증권·전자증권 이후 새 형태인 이 증권을 '토큰증권(Security Token·ST)'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유동성, 소액자산투자 등의 측면에서 강점을 갖도록 자산 지분을 쪼개 분산원장 기술로 특정 시장운영기반 내 가상자산인 토큰 형태의 증권을 발행하면 이자·배당 등 장래 수익, 실물 자산 등의 지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아울러 기존 전자증권과 달리 금융사 관리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수익증권, 파생결합증권, 투자계약증권 등 주식, 채권, 저작권, 그림 등을 위시한 비정형적 증권 발행에 용이하다. 이처럼 실물자산이나 금융자산을 유동화하는 토큰증권 발행(Security Token Offering·STO) 사업의 인프라 구축이 관건인 만큼 증권사들은 블록체인 기업과의 연합에 열중하고 있다.

 

◇증권사들, 각각 시험공간에서 만반의 준비

 

상당수 증권사들이 지난해 블록체인 전담부서를 구성한 와중에 하나증권은 웹툰, 모바일콘텐츠, 금·은, 예술품 등 여러 기초자산을 취급하는 업체들과 협업해 STO 서비스 시작 준비를 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지난 9월 뮤직카우와 음악 수익증권 발행·유통 협업 외에도 미술품 조각투자업체인 테사와도 실명계좌 서비스 제공에 협의한 것은 물론 코스콤과도 제휴하며 블록체인 기술 활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 카사를 인수한 대신증권은 역시 같은 달 압구정 소재 빌딩 공모에서 성공적인 사전점검으로 예열을 마쳤다. 

 

다수 참여사가 모인 워킹그룹 간담회를 마련해 주요 섹터별 기초자산의 평가 모델링 기준을 마련 중인 IBK투자증권은 이 모델을 토대 삼아 내년 토큰증권 상품 시범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하이투자증권과 차지인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기반 토큰증권 발행, 투자계약증권의 STO화 및 계좌관리기관 서비스 협력 등 관련 사업기회 발굴 등을 공동 추진하고자 지난달 30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3월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외에 한국은행의 디지털화폐(CBDC) 모의실험 사업을 무사히 마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과 함께 STO 연합체 '한국투자 ST프렌즈'를 꾸린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9월12일 STO 인프라 구축을 마쳤다고 알렸다. 지난달 12일에는 비상장 주식거래 플랫폼 운영업체인 서울거래와 관련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거대한 만큼 한 발 더 내디딘 증권사들

 

국내 증권사 중 이사회를 통한 STO 신사업 선정 후 금융당국으로부터 토큰증권 혁신금융서비스 지정까지 받으며 앞서 나갔던 신한투자증권. 이 증권사는 지지난 달 27일 KB증권, NH투자증권과 STO 시장 진입이라는 한 목표로 비용 절감에 방점을 찍은 컨소시엄 구성 관련 업무협약서에 서명했다. 

 

STO 사업에 있어 어느 곳보다 주목을 받는 곳은 미래에셋증권이다. 지난 5월 SK텔레콤·하나금융그룹과 토큰증권 컨소시엄 '넥스트 파이낸스 이니셔티브(NFI)'를 결성한 이 증권사는 실무 협력체인 '토큰증권워킹그룹(STWG)'을 운영하며 역동적인 실행력으로 거대 연합의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여기 더해 전달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TWG에 콘텐츠 제작사 게니우스, 투자업체 쏠레어파트너스, 조각투자 플랫폼인 트레져러, 블록체인 네트워크업체 폴리곤랩스, 종합생활금융 플랫폼 서비스업체 갤럭시아머니트리 등이 합세해 준비금증명, 익명송금 등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를 도모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국내 한 매체의 투자포럼에 참여해 토큰증권 시대가 열릴 경우 현재까지의 금융 그 이상의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인 미래에셋증권 안인성 디지털부문 대표(부사장)의 열변은 현 상황에 대한 방증이기도 하다.

 

◇채비 한창이나 역시나 발목 잡는 제도상 문제

 

다만 시장 활성화를 위해 토큰증권 공시체계 정비 등 투자자 보호체계 확립 및 기관투자자 참여 확대와 거래비용 인하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국회는 현재 제도적 인프라 확충을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안과 전자증권법 개정안을 발의했고 금융당국도 관련 하위법령 개정을 논의 중이다. 

 

그러나 정치권의 행보가 순탄치 않다. 앞서 7월28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은 기존 증권처럼 STO를 규제하는 자본시장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지만 내년 총선 등 다른 정치적인 문제로 제대로 된 의견교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법안 처리 지연 시 증권사들은 사업 수정 가능성 및 투입 비용 증가 등의 난항을 겪게 될 여지가 충분하다.  

 

이와 함께 토큰증권 규제를 두고 업계와 당국 간 견해차도 여전하다.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를 바라는 금융투자업계의 요구에도 금융당국은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