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OTT부터 정품 케이스까지…' 이통 3사, 보급형 '아이폰 16e' 가입자 유치전

 

[IE 산업] 애플이 3년 만에 내놓은 보급형 스마트폰 '아이폰 16e'가 28일 국내에 정식 출시된 가운데 이동통신사(이통사)들이 고객 수요를 잡고자 다양한 혜택을 내걸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인공지능(AI) 기능을 갖춘 아이폰 16e는 지난 2016년, 2020년, 2022년에 이은 네 번째 보급형 모델이다. 그동안 애플은 보급형 모델에 'SE'를 불였지만, 이번에는 명칭을 '16e'로 변경했는데, 이는 아이폰16 시리즈의 연장선이란 의미가 담겼다.

 

이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애플이 자체 개발한 최신 세대인 'A18' 칩이다. 크기는 아이폰 16과 같은 6.1인치며 배터리 수명은 최대 26시간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다.

 

또 애플의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도 지원해 이모티콘 제작, 사진 속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는 '클린업', 알림 요약 등 여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오는 4월 초부터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다.

 

촬영 기능의 경우 전작인 '아이폰 SE 3세대'보다 최대 네 배 더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는 4800만 화소(48MP)의 퓨전 카메라를 활용했다. 또 통합된 두 배 망원 기능도 넣었다.

 

다만 후면 카메라는 하나만 탑재해 고급 모델이 최대 세 개 카메라를 장착한 것과 차이가 있다. 또 자석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인 '맥세이프'도 지원하지 않는다. 충전 단자는 USB-C 타입이다.

 

아이폰 16e는 용량별로 128GB, 256GB, 512GB 등 세 가지 모델로 출시되며 색상은 무광 화이트와 블랙에서 고를 수 있다. 128GB 모델 기준 출고가는 99만 원이다.

 

이통 3사는 3년 만에 출시되는 아이폰 보급형 모델인 만큼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측해 치열한 경쟁에 나섰다.

 

우선 이통 3사는 4만5000~25만 원 수준의 공시지원금을 책정했다. 이 가운데 KT가 가장 많은 공시지원금인 6만~25만 원을 지원하며 LG유플러스가 5만2000~23만 원, SK텔레콤이 4만5000~13만8000원을 약속했다. 또 유통업체가 지원하는 추가 지원금(공시지원금 15%)까지 받으면 최대 28만7500원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SKT는 공식 온라인몰 T다이렉트샵 '티다문구점'에서 '아이폰 16e 전용 액세서리 기획전'을 열었다. 또 온라인 전용 요금제 '다이렉트5G 76'에 가입하면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ver The Top, OTT) 혜택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다이렉트 5G 76(스마트기기) 요금제에 가입하면 애플워치 SE 2세대 기기를 24개월 동안 할부로 매달 1만2000원씩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KT는 공식 온라인몰 KT닷컴에서 아이폰 16e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신한카드 또는 BC카드로 결제 시 12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선사하며 개통 후 구매 후기를 작성한 고객에게 애플 정품 케이스를 증정할 방침이다.

 

여기 더해 아이폰16e를 이용하는 만 18세 이하 고객 선착순 4000명에게 '콴다 프리미엄 Lite' 1개월 무료 이용권(월 1만1000원 상당)을 지급한다. 콴다는 AI 기술 기반의 초·중·고 문제 풀이 학습 플랫폼이다.

 

LG유플러스는 유플러스닷컴에서 아이폰 16e를 구매하는 고객에게 하이브리드 케이스를 제공한다. 5G 프리미어 슈퍼 요금제 이상일 경우 네이버페이, GS25, 토스 포인트 등 최대 18만 원 쿠폰도 받을 수 있다. 만약 온라인몰을 통해 가입하면 온라인 전용 '다이렉트 요금제'도 선택 가능하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AI와 같은 최신 기능은 갖췄지만, 보급형임에도 다소 높은 가격은 소비자의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높음. 미국 정보기술(IT) 매체 시넷은 "애플의 기본 프리미엄 모델 가격의 절반 수준인데, 5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사양과 신뢰성을 갖춘 스마트폰이라는 SE 시리즈의 강점이 사라졌다"고 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