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정치] 지난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렸던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국회는 곧 탄핵소추의결서를 작성해 민주당 소속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에게 보냈다. 국회는 14일 오후 4시5분께 본 회의를 열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상정해 무기명 투표를 진행했다. 그 결과 찬성 204표, 반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로 이번 안이 가결됐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투표에 앞서 "대한민국은 지금 길 위에 서 있다. 어떤 길로 향할지 마음 졸이는 시간이지만, 길은 늘 국민 속에 있다"며 "한 분도 빠짐없이 투표해 달라"고 부탁했다. 이후 야6당 의원을 대표해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약 20분 동안 제안설명을 한 뒤 투표가 시작됐다. 탄핵소추안 표결은 국회법 130조 2항에 따라 무기명 투표로 진행되며 보통 약 30~40분 걸리는데, 이날은 15분 만에 투표가 끝났다. 4시45분에 투표가 종료된 후 개표 절차까지 마친 뒤 우 의장은 5시 "대통령 윤석렬 탄핵소추안은 총투표수 300표 중 가 204표, 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로써 가결됐음을 선포한다"고 알렸다.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헌법 65조2항에 따라 국
발의일자 대상자 발의자 국회 표결 결과 헌재 인용 여부 사유 2004년 3월9일 노무현 유용태·홍사덕 외 157인 가결 (재적:272, 가:193, 부:2) 기각 공직선거법이 정한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2016년 12월3일 박근혜 우상호·박지원·노회찬 등 171인 가결 (재적:300, 가:234, 부:56, 기권:2, 무효:7) 인용 제3자의 권력 남용을 위시한 국민주권주의 등 헌법 11개 항, 뇌물죄 등 법률 4개 항 위반 2024년 12월5일 윤석열 박찬대·조국·천하람· 윤종오·용혜인 등 191인 의결정족수 미달로 폐기 · 비상계엄 선포 관련 헌법 16개 항, 국가공무원법 1개 항, 계엄법 3개 항, 형법 2개 항 위반 2024년 12월12일 윤석열 박찬대·황운하·천하람· 윤종오·용혜인 등 190인 가결 (재적:300, 가:204, 부:85, 기권:3, 무효:8) · ·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IE 금융] 경제·금융수장들이 이달 14일 예정된 탄핵 표결 국회 본회의를 포함한 주말 정치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금융시장 변동성이 과도할 시 추가 시장안정조치를 하겠다고 제언했다. 13일 기획재정부(기재부)에 따르면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한국은행(한은) 이창용 총재, 금융위원회 김병환 위원장, 금융감독원(금감원) 이복현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를 개최, 금융·외환시장 동향 점검 및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들은 주식시장에서 기관투자자 매수세가 지속하며 3일 연속 상승해 그간 낙폭을 점차 회복 중이며 국채 금리도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최근 상황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데 공감, 관계기관이 긴밀히 공조해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24시간 점검하기로 했다. 또 지난 4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무제한 유동성 공급과 같은 시장안정조치를 지속하기로 했다. 더불어 이번 주말 정치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비하고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나타날 때 추가 시장안정조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도 각 기관들은 최근 상황이 대외신인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대외소통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IE 정치]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전격 담화을 실시,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에 대해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을 알리기 위해서"라고 설명하며 조기 퇴진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비상계엄 선포 사과 이후 칩거를 이어가던 중 이날 오전 8시20분께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했다가 오전 8시57분쯤 차를 타고 청사 밖을 나갔다. 이후 오전 9시42분 용산 대통령실에서 녹화된 대국민 담화를 통해 "계엄 선포와 관련한 법적, 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고 이미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취임 이후 단 한 순간도 대통령 임기, 자리보전에 연연한 적 없었고 자리보전 세력만 있었다면 국헌 문락 세력과 맞설 일도 없었고 이번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일은 더더욱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그는 "하루가 멀다 하고 입법 폭거를 일삼고 방탄에만 혈안이 된 거대 야당의 의회 독재에 맞서 대한국의 자유 민주주의를 지키려고 했던 것"이라며 "그 길밖에 없다고 판단해 내린 대통령의 헌법적 결단이자 통치행위가 어떻게 내란이 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국정 마비와 국헌 문란을 주도한 세력과 범죄자 집단이 국정을 장악,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12월 둘째 주(12월9일~12월15일) 정보입니다. ◇수도권 -서울 빛초롱 축제 ·기간 : 2024년 12월13일~2025년 1월12일 ·장소 : 청계천 일대 이번 축제 주제는 'SOUL LANTERN: 서울, 빛을 놀이하다'로 청계광장 및 청계천 일대 4개 구역에서 빛 조형물 전시, 홍보·이벤트 부스 및 크리스마스, 새해 시즌에 맞는 D.I.Y 체험 프로그램 등 운영. ·관련 사이트 : http://stolantern.com/business/businessA -광화문 마켓 ·기간 : 2024년 12월13일~2025년 1월5일 ·장소 : 광화문광장 서울 야간관광 활성화와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개최하는 행사로, 소품·먹거리 소상공인 판매 부스, 무료 체험프로그램 및 이벤트 등 운영. 초대형 크리스마스 트리, 포토존, 시즌 먹거리 부스, 체험 이벤트존 등으로 방문객 초대. ·관련 사이트 : https://culture.seoul.go.kr/culture/culture/cultureEvent/view.do?cultcode=150696&
[IE 산업]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국민의 월평균 불법 스팸 수신량이 16.34통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정부와 각 업계가 스팸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다양한 대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국민 1명 매달 17통 각종 불법 스팸 '골치' 6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에 따르면 월평균 불법스팸 수신량은 16.34통으로 작년 하반기 대비 2.85통이 증가했다. 이는 방통위와 KISA가 전국 휴대전화·이메일 사용자 3000명(12~69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이 가운데 휴대전화 문자스팸이 11.59통, 음성스팸이 1.53통, 이메일이 3.22통으로 각각 지난해 하반기보다 2.68통, 10.06통, 2.74통 늘었다. 불법스팸 비중을 보면 금융(주식·재테크), 도박 유형이 가장 높았다. 특히 같은 기간 문자스팸 중 주식투자유도 유형 불법스팸은 25.9% 급증했다. 이용자 신고나 스팸트랩 시스템으로 탐지한 불법스팸도 2억2680건으로 작년 하반기 대비 9.8% 많아졌다. 이 중 문자가 2억1150건으로 14.3% 늘었으며 음성은 22.7% 뛴 601만 건이었다. 반면 이메일 스팸은 92
[IE 정치] 윤석열 대통령이 4일 국회 요구를 받아들여 비상계엄 선포를 해제했다. 이는 전날인 3일 오전 10시27분께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약 6시간 만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새벽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개최해 "저는 어젯밤 11시를 기해 국가의 본질적 기능을 마비시키는 자유민주주의 헌정질서를 붕괴시키는 반국가 세력에 맞서 결연한 구국의 의지로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며 "그러나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가 있어 계엄 사무에 투입된 군을 철수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바로 국무회의를 통해 국회 요구를 수용해 계엄을 해제할 것"이라며 "다만 즉시 국무회의를 소집했지만, 새벽인 관계로 아직 의결 정족수가 충족되지 못해서 오는 대로 바로 계엄을 해제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의 봄 찾았더니…45년 만에 비상계엄 선포 비상계엄 선포는 1979년 10월 이후 45년 만에 일어난 일이다.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뉘는데, 윤 대통령이 이번에 내린 비상계엄은 '적과 교전(交戰) 상태에 있거나 사회질서가 극도로 교란(攪亂)되어 행정 및 사법(司法) 기능의 수행이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 해당한다. 윤 대통령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을 계엄사령관으로 임명했으며 박 사
과거와 현재의 오늘 벌어졌던 '깜'빡 놓치고 지나칠 뻔한 이슈들과 엮인 다양한 '지'식들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1.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마감 올 5월 근로·자녀장려금 미신청 가구는 오늘까지 신청해야 장려금 수령 가능.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은 작년 부부합산 소득이 단독가구는 2200만, 홑벌이 3200만, 맞벌이 3800만 원 미만, 가구원 전체 재산합계액이 2억 4000만 원 미만이면 해당.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 자녀를 둔 홑벌이·맞벌이로 부부합산 소득 7000만 원 미만일 경우. 재산 기준은 근로장려금과 동일. 신청은 전화(1544-9944)로 가능하며 직접 신청 불가 시 상담센터(1566-3636)나 세무서를 통한 대리 신청도 가능. 2. 연소득 2억 부부도 신생아대출 가능 오늘부터 '디딤돌대출 맞춤형 관리방안' 시행 시기에 맞춰 연 소득 2억 원 이하 맞벌이 부부도 디딤돌·버팀목 등 신생아 특례 대출 혜택 지원. 신생아대출은 대출 신청일 기준 2년 이내 출산·입양한 무주택 가구나 1주택 가구(대환대출)에 낮은 금리로 최대 5억 원까지 주택 구입 자금을 빌려주는 상품이며 가격 9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에 해당. 3. 軍 독자 정찰위
[IE 사회] 일을 하지도 일자리를 찾지 않은 채 '그냥 쉬는' 청년이 늘고 있다. 최근 주요 고용지표들이 양호한 모습임에도 이른바 '쉬었음' 인구가 계속 증가한 것.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다. ◇올해 국내 '쉬었음' 인구 42만 명…전년比 25.4% '껑충' 2일 한국은행(한은)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배경과 평가' 자료에 따르면 올 3분기 기준 쉬었음 인구는 42만2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4% 증가했다. 쉬었음 인구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특별한 이유나 교육훈련 없이 노동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한다. 자료에서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육아·가사, 교육·직업훈련, 연로·심신장애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이 쉬었음이다. 특히 올해 들어 쉬었음 인구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층이 이런 증가세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쉬는 게 아니라 취업을 경험한 뒤 더는 구직을 하지 않고 이탈한 사례가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이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별로 보면 자발적으로 그만두고 쉬는 경우인 '자발적 쉬었음'이 크게 늘었다. 비자발적으로 그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12월 첫째 주(12월2~8일) 정보입니다. ◇수도권 -유러피언 크리스마스 마켓 ·기간 : 7~8일 ·시간 : 오후 12시부터 7시까지 ·장소 : 성북천분수마루 13개국 유럽 국가 대사관과 함께 내·외국인이 함께 어울려 유럽 각국의 전통과 다양한 크리스마스 문화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글로벌 축제. 유럽 마을의 크리스마스 마켓 특유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행사장에서 장식품, 공예품, 음식 등 체험. ·관련 사이트 : https://www.instagram.com/sbglobalcenter -겨울엔 양평 ·기간 : ~2025년 1월31일 ·장소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마유산로 11 양평군 전역 기치는 '양평에서 따뜻한 겨울나기'로, 2개월간 양평의 지역자원을 연계해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 특별한 겨울 여행 선사. 양평 대표 음식인 해장국, 순댓국 등 식당, 도서관 및 서점, 반려동물 동반숙소 등을 연계한 스탬프투어, 유튜버스킹, 뚝배기왕 선발 이벤트 등 기획. ·관련 사이트 : https://xn--h89ak68bzfap6a619b
은근히 강한 바람에 단풍도, 그나마 남았던 나무 위 눈송이도 모두 떨어집니다. '꽃이 지기로서니 바람을 탓하랴'는 첫 구절이 유명한 조지훈의 시 '낙화'가 떠오르네요. 낙화도 좋지만 제가 손꼽는 조지훈의 시는 승무입니다.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梧桐)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먼 하늘 한개 별빛에 모두오고, 복사꽃 고운 뺨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세사(世事)에 시달려도 번뇌(煩惱)는 별빛이라.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깊은 마음 속 거룩한 합장(合掌)인 양하고, 이 밤사 귀또리도 지새우는 삼경(三更)인데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승무는 현대 한국 무용의 개척자인 전설의 무용가 최승희의 몸짓을 본 후 시상을 떠올렸다고 하죠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11월 마지막 주(11월25일~12월1일) 정보입니다. ◇수도권 -양재풍류살롱 ·기간 : 11월30일~12월22일 ·장소 : 양재천길 일원 양재천길 '로컬문화'와 프랑스 '살롱문화'가 접목된 축제로 양재천길의 맛과 멋을 기반 삼아 여러 공간에서 열리며 다양한 취향 교류. 프로그램은 '러닝살롱' '인문학살롱' '클래스' '취미' 모두 네 가지 테마로 특별한 콘텐츠 마련. ·관련 사이트 : http://www.xn--op2bnqu0pimf90ch72a.com/intro.html -마토예술제 ·기간 : 30일 ·시간 :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장소 : 평택시 안정리 예술인광장 주제는 'Y2K(2000년)'로 추억의 유명곡 댄스 및 가수 공연 마련. 또 세대 간 공감할 수 있는 추억회상 체험 프로그램, 추위를 피할 수 있는 찜질방 쉼터, 겨울 간식 먹거리, 포토존 등도 기획. ·관련 사이트 : https://www.instagram.com/pccf_2020 -관악별빛산책 ·기간 : ~2025년 2월9일 ·장소 : 별빛내린천 자치구 내
며칠 전, 간만에 생 아몬드를 사서 볶았습니다. 따끈하면서도 고소한 맛이 그리운 날이었죠. 생 아몬드는 청산가리 냄새가 나고 독성물질이 있어 날로 먹으면 안 된다는 얘기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미그달린(Amygdalin)이라는 이 독성물질은 살구, 복숭아, 은행, 매실 등 핵과류 과일의 씨앗이 함유한 청산 화합물(사이안 배당체)로 아몬드에서 처음 발견해 이같이 명명했다고 하죠. 아몬드(almond)'는 그리스어 ‘아미그달라(amygdala)’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고요. 아미그달린 그 자체에는 독성이 없지만 장내 효소활동으로 시안화수소를 만드는데 이것이 우리가 아는 청산가리 성분입니다. 악당조직의 약물 탓에 고등학생에서 어린 아이가 된 주인공이 등장하는 일본의 유명 추리만화 등을 보면 목숨을 잃은 피해자를 살피다가 생 아몬드 냄새가 난다며 청산가리에 의한 타살을 추측하는 내용이 나오곤 합니다. 그런데 인류의 40%가량은 생 아몬드에서 나는 청산가리 냄새를 맡지 못한다고 합니다. 또 도처에 널린 식용 아몬드에도 극소량의 아미그달린이 들어있으나 50kg 이상 섭취해야 반수치사량에 이르는 만큼 생으로 먹어도 무방하고요. 아몬드를 생것이 아니라 구워서 파는
우리나라 전 지역 곳곳을 살피며 큰 비용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축제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나들이 가GO이슈]의 11월 넷째 주(11월18~24일) 정보입니다. ◇수도권 -파주장단콩축제 ·기간 : 22~24일 ·장소 : 파주임진각광장 주제는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장단콩 이야기'로 파주장단콩 개발요리 전시관, 밥맛시식회, 파주장단콩전시관과 버스킹·무대공연, 전시관, 향토음식 판매점, 꼬마메주만들기, 콩타작체험, 고추장 및 김치담그기 등 기획. ·관련 사이트 : https://tour.paju.go.kr/tour/festival/festival02/festival02_2/festival02_2_01/festival02_2_01_01.jsp -관악별빛산책 ·기간 : ~2025년 2월9일 ·장소 : 별빛내린천 자치구 내 하천을 이용한 조명축제로 올 5월 준공을 마친 수변테라스도 적극 활용해 조명을 설치하고 별빛내린천을 꾸밀 예정. '도심 속 별빛정원'을 부제로 포근함을 연출하며 수변테라스에는 소형트리를 설치해 잠시 쉬면서 숲 속 정원에 있는 느낌을 줄 계획. ·관련 사이트 : https://korean.visitkorea.or.kr/kfes/detail
약 22일 만에 가입자 1만 명이 넘은 저축 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내놓은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상품인데요. 이는 지난달 22일 판매된 지 이달 12일 기준 가입자 1만 명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지난 2018년 도입한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가입자 수보다 두 배 빠른 수치인데요. 내일채움공제는 출시 60일이 돼서야 1만 명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중소기업 재직자의 장기간 재직 유도와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등장했는데요. 중소기업 재직자는 월 10~50만 원(가입 단위 1만 원)을 5년 동안 매달 내면 기업이 재직자 납부금의 20%를 추가로 보태주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재직자가 10만 원, 30만 원, 50만 원을 각각 내면 기업은 2만 원, 6만 원, 10만 원을 수납해야 하는데요. 이 경우 각각 5년 뒤 806만 원(재직자 납입금 600만 원), 2418만 원(납입금 1800만 원), 4029만 원(재직자 납입금 300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재직자의 경우 기업은행이나 하나은행에서 편한 날짜에 매월 입금하면 되지만, 중소기업은 5, 15, 25일 등 지정일이 있다는 점을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