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에서 사 먹은 수박주스입니다. 만들 동안 옆에서 구경하던 한 아저씨가 "덜 자란 수박을 갖고 와 만드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품기도 했는데, 이에 가게 주인 분은 "이 크기가 다 큰 것"이라며 "큰 수박 못지않는 당도를 자랑한다"고 호탕하게 설명하네요. 저도 사실 처음 이날 이 수박을 처음 봤는데요. 애플수박이라고 불리는 이 수박의 지름은 약 10~12cm, 무게는 약 1kg도 채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가볍지만 보통 수박과 맛도 크게 다르지 않고요. 또 껍질도 얇기 때문에 손질하기도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네요. 이 외에 3~4kg짜리 망고 수박도 있고요. 사실 커다란 크기의 기존 수박은 1인 가구에게 그야말로 '그림의 떡'이었습니다. 한 번 사면 며칠을 먹어야 할뿐더러, 대량으로 쏟아지는 수박껍질은 초파리를 일으키는 주범입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전국 1~2인 가구 비율은 지난 2015년 5월 기준 55%에서 올해 5월 기준 61.3%까지 상승했는데요. 그만큼 유통업계의 중요한 소비 계층으로 떠오른 만큼 이런 조그만 수박이 탄생하게 됐고요. 일례로 이마트 수박 매출을 보면 전체 수박 매출에서 5kg 미만 수박이 차지하는
주가 움직임이 또 심상치 않네요. 개미 분들, 얼마 전까지 차익실현도 그렇고 투자도 고심하시던데 오늘 또 충격이 있었네요. 미국, 중국 등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재유행 우려가 부각돼 코스피, 코스닥지수가 급락했다는데 정확한 진단은 누구도 알 수 없는 거죠.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1.48포인트(4.76%), 코스닥지수는 52.91포인트(7.09%) 떨어져 각각 2030.82, 693.15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국내 지수를 살펴보다 문득 초등학교 하나가 떠올랐습니다. 많은 분들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유치하게도 맞습니다. 1921년 5월에 개교한 지수 공립 보통학교, 현재의 지수초등학교입니다. 학생 수 감소로 2009년 지수-송정초등학교가 통폐합하면서 지수초등학교가 돼 2010년에 지금 위치인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에 자리를 다시 잡았고요. 2020년 2월 현재 2명이 졸업한 제96회 졸업식이 있었는데 모두 4436명의 학생이 이 학교를 거쳤습니다. 교훈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선하고 창의적인 어린이, 교목은 소나무, 교화는 철쭉인 이 학교의 올해 교직원 수는 23명, 학생 수는 43명입니다. 진주시가 소유하고 있는 옛 지수
바로 아래 이미지는 동거 중인 작은 사람이 가끔 하는 스마트폰 게임에서 캡처했습니다. 며칠 전 저녁에 승격이 어쩌고 얘기하는데 잘했다고 칭찬하기도 애매하더라고요.(실은 작작 좀 하라는 말이 하고 싶었…) 오늘부터 등교하는 날이라 전날 밤부터 심적 고통을 겪던 모습이 눈 감아도 선하네요. 오늘 소식 들으셨죠? 보건복지부 소속기관인 질병관리본부(질본)가 '청'으로 승격합니다. 정부조직법 개정, 지방조직 신설 등 관련 작업들이 분주하게 이뤄지고 있겠죠. 이제 질본이 청으로 승격되면 중앙행정기관으로 거듭나 업무의 독자성이 강화되는 동시에 업무 범위가 전국에 미치게 됩니다. 청의 수장은 차관급으로 소관사무 통할권 및 소속장관을 통한 부령 제청권 등을 갖게 되고요. 이제 돌이켜보니 현 정부 들어서 승격된 조직이 꽤 있네요. 질본의 청 승격 기념으로 살짝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2017년 7월26일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엮였던 중소기업청이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출범했습니다. 지금도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생태계 구축, 정책 등을 책임지고 있죠. 올해 4월30일에는 소재 R&D 성장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재료연구소가 한
집 근처 카페에서 편하게 자는 고양이입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전인 지난 겨울 찍은 사진입니다). 이 동네 주민이라면 한 번쯤은 본 고양이인데요. 이 아이는 집고양이답지 않게 카페 밖 곳곳을 누비기 때문입니다. 원래는 길고양이였지만, 매번 밥을 주는 이 카페에 정착하게 됐다고 하는데요. 이곳저곳을 누비다가 배가 고프거나 잠이 오면 이 카페 문 앞에서 문을 열어주기까지 기다립니다. 또 간혹 근처 편의점이나 다른 가게에 제집인 것처럼 드러누웠다가 다른 사람 품에 안겨서 카페로 돌아오곤 하죠. 이렇듯 사랑스러운 고양이 사진을 보고 있자니 최근 큰 이슈가 된 한 유튜버 사건이 떠오르는데요. 50만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 '갑수목장'을 운영하는 충남대 수의대생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유기된 고양이와 강아지를 정성껏 보살피며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 특히 지난해 7월 SBS 동물농장에 출연한 후 구독자 수가 급증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7일 이 동물 모두 펫숍에서 구매했다는 폭로가 등장했는데요. 이날 충남대 수의학과 재학생들은 폭로 영상을 통해 그가 햄스터를 학대하거나 영상을 찍기 위해 데려온 동물들의 밥을 굶겼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심지어 영상
어제 우연히 신비로운 자연현상을 하나 알게 됐습니다. 명칭도 생소한 수관기피 현상(Crown Shyness)입니다. 사진처럼 나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무리 가까이 다가가더라도 서로의 수관을 건드리지 않고 경계를 유지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소나무에서 발견되는데 지난 1920년대에 발견돼 계속 연구가 이어졌지만 현재까지 명확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하네요. 몇 가지 가설 중 하나는 공생을 위해 햇볕을 골고루 받으려는 나무들의 전략이라는 것입니다. 빛의 세기 변화를 감지에 근처에 나무가 있으면 그 방향으로 가지를 뻗지 않는다는 얘기죠. 이 외에도 숲 꼭대기에서 부는 바람 탓에 인접한 나무들의 가지들이 마모로 끊겨서 이런 현상이 생겼다, 땅속 화학물질을 통한 의사소통 중 하나라는 가설도 있습니다. 저는 그중 첫 번째 가설이 가장 마음에 들어오는데요. 서로가 서로를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거리를 두며 살아가는 모습이 현재의 우리보다 더 낫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고 있는데요. 다만 강도는 달라졌죠. 지난 4주간 지속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실물경제 침체,
지난 21일부터 내달 5일까지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내려왔는데요. 원래도 집순이(?)인 저는 집에서 혼자 잘 놀던 중 클라우드에 있던 여행 사진을 통해 간접적인 여행에 나섰습니다. 그러던 중 이 사진을 발견했는데요. 포켓몬 GO(고) 열풍이 한창이었던 지난 2016년 7월 속초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당시 포켓몬 고는 강원도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 등을 제외한 국내 대부분 지역에서는 안 되는 게임이었는데요.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속초로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속초시도 재치 있는 현수막을 내걸었습니다. 이처럼 포켓몬 고는 국내에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라는 개념을 심어준 공신인데요. AR은 사용자의 실제 환경에 가상의 정보를 투영하는 기술입니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가상의 정보가 실제처럼 느껴지지만 AR은 실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진처럼 이용자가 다니는 편의점에 갑작스럽게 비현실적인 포켓몬이 등장하는 기술이 AR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R 기술은 한동안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의 일종인 구글 글라스나 마이크로소프트(MS) 홀로렌즈와 같은 스마트글라스 안에 갇혀 성장이
"와 앞에서 줄이 길어서 못 살 것 같다고 얘기하네? 또 어떤 사람은 우체국에서 잘려서 바로 여기로 왔대…… 읍내에 사람이 이렇게 많은 건 처음 본다. 새치기하려다가 싸움도 났어." 무슨 얘기냐고요? 공적 마스크를 사기 위해 읍내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줄을 선 지인의 생생한 경험담입니다. 그는 대략 한 시간 전부터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을 섰다는데요. 이 결과 겨우겨우 마스크를 살 수 있었다고 합니다. 현재 정부는 약국, 우체국, 농협 하나로마트에 보건용 마스크를 공급하고 있는데요. 마스크는 상대적으로 마스크를 사기 어려운 읍·면 단위 지역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집중적으로 퍼진 대구·경북지역에 집중 공급되고 있습니다. 우체국은 오전 11시, 하나로마트는 오후 2시부터 마스크를 선착순 판매하고 있는데요. 1인 5매까지 살 수 있어 각 지역 우체국과 하나로 앞은 판매 시각 전부터 북적북적합니다. 이런 과정에서 새벽부터 줄을 사람들도 생겼는가 하면 앞서 말한 지인의 경험담처럼 새치기 같은 일이 일어나 시비가 붙기도 하는데요. 이 모든 일을 다 겪었어도 마스크를 샀으면 다행이지만, 빈손으로 발길을 돌리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에 지방자치단체들은
어제 종일 비가 내리더니 오늘도 역시 날이 흐리네요. 하루를 시작하려 집을 나서던 길, 아파트 입구에 있는 돌길을 밟던 차에 매일 보던 검은 바닥돌에 살짝 고인 물방울들이 오늘따라 유난스럽게도 가랑가랑하게 보였습니다. 근처 빌라 신축 공사현장에서 나는 냇내도 오늘만큼은 정겨웠고요. 노기(老氣)가 차고 있는 건지 별스럽게 튀는 것들이 많은 하루네요. '짜사이'를 쓸 요량으로 찍은 사진은 아니지만 이왕 말 꺼낸 김에… 보자마자 자연의 판각(板刻)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뭇조각은 아니지만 돌조각에 단풍을 새겨 넣은 것처럼 보였거든요. 조선 후기 대동여지도를 비롯해 3대 지도를 제작한 고산자 김정호는 한양에서 판각기술자인 판각쟁이로 지내며 지리학을 익혔다고 합니다. 판각쟁이라는 용어가 사전에 등재되진 않았지만 이런저런 책에서 그렇다니 그런 줄 알아야죠 뭐. 참고로 풍각쟁이는 국어사전에 잘 실려있네요. 풍각(風角)은 뿔이나 피리 등을 연주하는 음악소리나 일반적인 음악을 통속적으로 일컫을 때 쓰는 단어입니다. 악기 연주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하고요. 풍각쟁이라는 말은 걸인(乞人이라 쓰고 거지 또는 거렁뱅이라고 읽는)들의 무리를 지칭할 때 쓰기도 했답니다. 또 가
얼토당토않게 찍은 사진입니다. 컴퓨터 책상에서 흰 잔에 커피를 마시다가 스피커에 달린 검은색 볼륨 단추를 보고 갑자기 바둑알 생각이 났거든요. 바둑 하니 당연히 얼마 전 은퇴한 이세돌 전 기사가 떠올랐고요. 공식석상에서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에게 승리한 유일무이한 인간. 바둑계를 떠난 알파고의 통산 전적은 74전 73승. 나머지 1패는 이세돌에게 당한 4국 패배. 그리고 작년 11월 19일 프로기사 사직서 제출 후 같은 달 21일, NHN에서 만든 우리나라 바둑 인공지능 한돌과 치른 3번기 이벤트 대국. 이세돌의 고향인 전남 신안군 증도 엘도라도 리조트에서 열린 '이세돌 vs 한돌' 치수고치기 3번기 최종 3국의 결과는 이세돌의 181수 불계패. 18일 1국에서 흑으로 2점을 먼저 놓는 접바둑 승부를 펼쳐 불계승한 이세돌. 19일 2국에서는 한돌과 호선으로 맞대결했지만 불계패.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의 생각을 훨씬 앞서가는 유형의 존재의 됐습니다. 이를 염려한 미국의 SF 작가·생화학자·과학해설자인 러시아 태생의 아이작 아시모프(Issac Asimov)는 자신의 소설 '아이, 로봇'에서 로봇 3원칙을 제안하기도 했고요. 제1원칙: 로봇은
왠지 이렇게 보면 집 근처(?)일 듯한 교회의 십자가입니다. 십자가 첨탑은 빨간빛일 거라고만 생각했는데 주광색과도 흡사한 것을 보니 '짜사이'를 쓰고 싶은 생각이 번뜩 들었습니다. 실은 얼마 전 매튜 본 감독의 2015년 작인 킹스맨 : 시크릿 에이전트를 다시 봤거든요. simple man과 더불어 Lynyrd Skynyrd의 대표곡 중 하나인 free bird가 흐르는 교회 대학살 장면이 떠올랐습니다. 영국 킹스맨의 비밀본부는 양복점이었지만 2편에서 국제적 범죄조직 골든서클에 의해 완전히 파괴돼 미국의 스테이츠맨의 비밀본부인 양조장으로 가 신세를 지게 되죠. 동료들이 영화 초반에 모두 사망하고 고풍·고급 이미지가 물씬 풍겼던 양복점까지 사라져 가슴이 아렸던 기억이 납니다. 과거엔 양복점이라는 간판이 어울릴 법한 점포에 '○○라사'라는 타이틀이 걸린 것을 종종 볼 수 있었습니다. 그물 나(羅·명주실로 짠 직물의 원단)와 비단 사(紗)가 합쳐진 음차식 단어(같이 보면 두 배 재미·클릭 시 이동)라는데 본디 라사는 포르투갈어 raxa(하샤)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하샤는 양털에 무명이나 명주, 인조 견사 등을 섞어 짠 모직물을 일컫는데 보온효과가 뛰어나 겨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