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해외여행서 카드 도난 급증…금감원, 소비자경보 '주의'

 

[IE 금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 이후 해외여행이 늘면서 해외에서 신용카드 도난, 분실, 위·변조 등 부정 사용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금감원)은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19일 금감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해외 신용카드 부정 사용 발생 규모는 16억6000만 원(1198건)으로 이 가운데 도난·분실 유형이 15억 원(1074건)을 차지했다.

 

주로 소매치기범들이 관광명소에서 주위가 혼란한 틈을 타 여행객 가방을 훔친 뒤 가방 속 신용카드로 명품가방과 같은 고액 상품을 결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상점 직원이 결제 과정에서 신용카드 IC칩을 탈취해 다른 카드에 탑재하거나 사설 자동현금입출금기(ATM)에 설치된 카드 복제기로 실물 카드의 마그네틱선을 복제한 후 카드를 부정 사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이에 금감원은 출국 전 '해외사용안심설정'과 '해외출입국 정보활용' 서비스에 가입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해외사용안심설정 서비스는 카드 사용 국가, 사용 기간, 1회 사용금액 등을 설정하면 원치 않는 해외결제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다. 아울러 해외출입국 정보 활용에 동의하면 출국 기록이 없거나 국내 입국이 확인된 후 해외 오프라인 결제를 차단한다.

 

금감원은 카드 뒷면에 서명이 누락됐거나 타인에게 카드를 양도한 사실이 확인되면 이용자도 일부 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고 주의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수법으로 카드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번호, 비밀번호 등을 철저히 관리하고 사고 우려가 큰 사설 ATM 이용을 피해야 한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금감원 측은 "만약 카드 분실·도난 시 장소·시간·연락처 등 정보와 함께 카드사에 즉시 신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여신금융업계와 통계청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하나·롯데·우리·NH농협카드)의 올해 3분기 신용·체크카드 해외 결제액은 총 14조5587억 원으로 작년 동기 11조4917억 원보다 26.7% 증가.

 

같은 기간 신용카드 해외 결제액은 10조438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9조1833억 원보다 13.7% 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