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경제] 1월 경상수지가 지난해 5월부터 21개월 연속 흑자를 지속했지만 국제유가 상승에 막혀 흑자 폭 축소. 11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22년 1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1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18억1000만 달러 흑자였으나 전년 같은 기간 대비 흑자 폭은 49억7000만 달러 축소. 수출이 양호했으나 원유 등 에너지류 수입액 급증으로 상품수지가 전년 같은 달보다 49억 달러 줄어 6억7000만 달러 흑자에 그쳤다는 게 한국은행 김영환 금융통계부장의 설명. 1월 에너지류 수입액은 같은 기간 121.8% 늘어난 181억5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 1월 수출은 전년 동월과 비교해 92억8000만 달러(19.8%) 불어난 561억3000만 달러로 15개월째 증가. 품목별로 석유제품 87.1% 급증에 이어 ▲철강제품(39.1%) ▲반도체(23.7%) ▲승용차(2.9%) 등의 순이나 선박(-79.1%)은 감소. 이 기간 수입 역시 141억9000만 달러(34.4%) 늘어 554억6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13개월 연속 오름세. 187.4% 급증한 가스와 ▲원유(86.9%) ▲석유제품(70.3%) ▲석탄(213.8%) 등 원자재가 67.4% 증
[IE 산업] 불량 재료로 김치를 제조해 논란을 일으킨 김치 제조업체 한성식품 김순자 대표이사의 식품명인 지정이 취소됐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불량 식재료 사용 의혹을 받고 있는 한성식품 김순자 대표의 식품명인 자격을 취소한다고 알렸다. 식품명인 지정 취소 첫 사례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말 김 대표가 식재료 논란과 관련해 명인으로서 사회적 책임과 함께 식품명인 자격 반납 의사를 밝힘에 따라 식품산업진흥심의회를 개최한 뒤 식품명인 자격 취소 결정을 내렸다. 농식품부는 "사회적 물의가 발생한 점에 대해 유감"이라며 "앞으로 식품명인 제품에 대해 철저한 점검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성식품 김순자 대표는 지난 2007년 농식품부로부터 전통명인 29호, 김치명인 1호로 지정됐지만 최근 자회사 공장에서 김치에 불량 재료를 사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가 제품별로 흡수성능·사용감 등이 제품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은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 9개 제품을 대상으로 시험·평가한 결과 역류량을 비롯한 흡수성능과 만족도, 촉감 등 소비자 사용감이 제품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알렸다. 흡수성능의 경우 기저귀에 흡수된 소변이 피부에 되묻어나오는 역류량이 적을수록 우수하다. 시험 결과 1회 소변(80㎖)에서는 모든 제품이 우수했다. 2회 소변(160㎖)에서는 나비잠, 보솜이, 슈퍼대디, 킨도, 팸퍼스 등 5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저귀가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소변의 양과 방수막을 통과해 바깥으로 새어 나온 소변의 양을 시험한 결과 9개 제품 모두 이상이 없었다. 만족도 평가에서는 팸퍼스 베이비 드라이 팬츠가 5점 만점 중 3.7점을 받아 최고점을 기록했으며 슈퍼대디 리얼소프트 팬티와 페넬로페 미라클 팬티(더퍼스트터치)가 3.6점으로 뒤를 이었다. 비교군 만족도 꼴등은 군 프렌드 팬티(2.7점)였다. 촉감은 나비잠 코지, 뭉치지 않는 정도는 보송보송 팬티(하기스)가 비교군 중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촉감과 뭉치지 않는 정
[IE 산업] 오비맥주가 약 6년 만에 국산 맥주제품의 출고 가격을 올린다. 2일 오비맥주에 따르면 오는 8일부터 국산 맥주제품의 공장 출고가격이 평균 7.7% 인상된다. 오비맥주가 국산 브랜드의 출고가를 올리는 것은 2016년 11월 이후 약 6년 만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의 여파로 각종 원료와 부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급등, 더이상 비용 압박을 감내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맥주의 주원료인 국제 보리 가격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3% 올랐다. 또한 가정용 캔 제품의 핵심소재인 알루미늄의 경우 2021년 국제시세가 이전 년도 대비 45%나 증가했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지난 6년간 경영합리화와 비용절감 노력으로 가격을 동결해왔으나 외부 비용 압박이 전례 없이 심화되고 있어서 일부 제품의 가격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용 증가 요인 대비 가격 조정폭을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배스킨라빈스가 가격을 올리기로 결정했다. 28일 배스킨라빈스는 3월부터 주요 아이스크림 제품 가격을 최대 8%대로 올린다고 알렸다. 이는 2019년 9월 이후 2년4개월 만의 가격 인상이다. 싱글 레귤러는 3200원에서 3500원으로 300원 오른다. 더블 레귤러는 6200원에서 6700원으로 500원 비싸진다. 구체적인 인상 폭은 ▲파인트 8200원→8900원 ▲쿼터 1만5500원→1만7000원 ▲패밀리 2만2000원→2만4000원 ▲하프갤론 2만6500원→2만9000원 등이다. 앞서 수입 아이스크림 브랜드 하겐다즈도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지난 1일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아이스크림 가격을 약 8% 올린 것이다. 주요 인상 품목은 미니 사이즈 4800원→5200원, 파인트 11종은 1만2900원→1만3900원 등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롯데칠성음료의 '처음처럼'이 소주 가격 인상에 합류했다. 업계 1위 하이트진로가 시작해 무학, 보해양조, 한라산소주 등 소주 브랜드들이 줄줄이 출고가를 올리면서 소줏값 도미노 인상이 현실화된 것. 25일 롯데칠성음료에 따르면 내달 5일부터 '처음처럼'을 비롯한 일부 제품 출고가가 일부 인상된다. 대표적으로 처음처럼의 경우 병 제품은 7.7% 인상하며 페트 제품은 640㎖ 한 품목만 6.7% 올린다는 방침이다. '청하' 출고가는 5.1%, 백화수복도 용량별로 7%에서 7.4% 뛴다. 설중매도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출고가가 7% 높아졌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원재료 및 부자재, 취급수수료 인상 등으로 인한 원가 부담을 더 이상 내부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불가피하게 출고가를 인상했다"고 말했다. 소주업계는 최근 소주의 핵심 주원료인 주정값이 10년 만에 7.8% 오르고 병뚜껑 가격도 급등하는 등 원가 압박이 커진 상태다. 이에 소주 업계 1위 하이트진로는 지난 23일 출고가를 7.9% 인상했다. 무학은 내달 1일 '좋은데이'와 '화이트' 출고가를 평균 8.84% 올릴 예정이다. 보해양조는 내달 2일 '잎새주' '여수밤바다' '복받은부
[IE 산업]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에 따라 배달비가 최대 5500원까지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 12일과 13일 양일간 배달 플랫폼별 배달비를 조사한 결과 동일한 음식점에서 같은 곳으로 주문한 경우라도 적게는 100원에서 5500원까지 차이가 났다고 알렸다. 주말 점심시간 치킨과 떡볶이를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쿠팡이츠 등 주요 배달 앱 3개를 각각 이용하는 방식으로 조사했다. 배달의민족의 단건배달 서비스인 '배민1'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그 결과 배달의민족 안에서만 5500원 배달비가 차이 났다. 다만 배민1 배달비가 가장 비싼 반면 배달의민족 묶음배달 경우에는 배달비가 비교적 저렴하게 책정됐다. 묶음배달은 음식 여러 건을 모아 한번에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배민1은 배달 거리가 3㎞ 미만이면 대부분 3000원으로 책정했지만, 배달 거리가 3㎞ 이상일 경우 7500원까지 배달비를 받고 있었다. 배달의민족(묶음배달)은 3㎞가 넘어도 음식점에 따라 2000원에서 5500원을 받았다. 배달 거리 3㎞ 이상 기준 요기요와 쿠팡이츠의 최고 배달비는 7000원으로 동일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배달 앱들이 소비자가
[IE 산업] 미스터피자가 피자 단품 가격을 인상한다. 25일 미스터피자에 따르면 가격 인상은 다음 달 15일부터 적용되며 피자 단품 가격을 일괄 2000원 인상된다. 이는 지난 2018년 한 차례 가격 인상 뒤 4년 만이다. 미스터피자 측은 원재료, 인건비와 같은 제반비용 상승과 이어진 업계의 가격 인상 분위기 속에서도 가격 인상을 최대한 미뤄왔다가 지속된 비용 상승 압박에 따라 부득이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스터피자 관계자는 "인건비, 식재료 등의 비용 부담이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가맹점주들의 부담도 날로 증가해 부득이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농심이 지난해 대표 라면 제품 신라면 가격을 올린 가운데 스낵 제품의 가격도 인상한다. 23일 농심에 따르면 내달 1일부로 스낵 출고가격을 평균 6% 올린다. 농심이 스낵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지난 2018년 11월 이후 3년 4개월 만이다. 가격이 인상되는 스낵은 22개 브랜드며 주요 제품의 인상폭은 출고가격 기준으로 꿀꽈배기, 포스틱, 양파깡 등이 6.3%, 새우깡 7.2%다. 이에 따라 현재 소매점에서 1300원에 판매 중인 새우깡(90g) 가격은 100원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실제 판매 가격은 유통점별로 다를 수 있다. 농심 관계자는 "약 3년 동안 팜유와 소맥분 국제시세가 각각 176%, 52% 오르는 등 주요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를 비롯한 제반 경영비용이 상승했다"며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조정했다"고 말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경제] 현재까지 모두 다섯 차례 지급했던 소상공인 지원금 중 최고액인 약 10조 원 규모의 방역지원금을 23일부터 지급. 지난 21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참여 없이 더불어민주당이 앞장서 의결한 2차 방역지원금은 1인당 300만 원 수준으로 1차 100만 원보다 200만 원 상향. 2차는 1차와 비교해 지원대상 및 지원기준이 확대됐는데 작년 12월15일 이전 개업 이후 올해 1월17일 기준 영업 중인 소상공인·소기업 가운데 연매출 10억 원 초과 30억 원 이하 사업체로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등 2만여 곳 추가. 영업시간 제한 업종 내 사업체는 별도 증빙이 필요 없으며 이 외 업체 중 버팀목자금플러스 또는 희망회복자금을 받았다면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인정해 지원. 이와 함께 2019년 또는 2020년 11월과 12월 매출액에 비해 2021년 같은 기간 매출액이 줄었더라도 지원. 아울러 규모가 영세하고 과세 자료 파악이 어려운 간이과세자는 2019년 또는 2020년보다 2021년 부가세 신고매출액이 감소했다면 지원. 2차 지급은 우선 23일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 홀수 사업체 152만 곳, 24일은 짝수 사업체 152만 곳에 문자로 신청 안내 예
[IE 산업] 시중에 판매되는 워킹머신 운동량 표시 정확성과 소음이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워킹머신에 표시되는 칼로리 소모량은 운동자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표시됐다. 21일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에 따르면 8개 업체의 워킹머신 제품이 운동 거리·속도 및 칼로리 소모량 표시 정확성,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30분간 운동한 후 제품에 표시되는 운동 거리·속도와 실제 측정 거리·속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8개 중 6개 제품은 오차범위가 5% 이내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오차가 10%를 초과한 '아벤토'는 운동 속도·거리 프로그램에 대한 무상수리 계획을 회신했으며 거성디지털은 운동 속도·거리 표시 정확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알렸다. 칼로리 소모량 표시 기능이 있는 6개 제품은 운동자의 키, 몸무게, 나이 등과 상관없이 제품 동작 조건에 따라 일정한 수치만 표시했다. 사실상 제품에 표시되는 칼로리 소모량은 운동자가 실제로 소비한 칼로리와 달라 참고용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소비자원의 설명이다. 체중 75㎏의 시험자가 6km/h 속도로 운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 제품별로 49dB에서 55dB 수준이었다. 아벤토(
[IE 산업]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의 파업 여파로 지난달 택배화물운송서비스와 관련한 소비자 상담이 늘어났다. 18일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12월 대비 올해 1월 상담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각종 일반화장품'으로 10.2% 증가했다. 각종 일반화장품 관련 상담은 제품 소개 페이지에 기재된 샘플 등 추가 구성품이 배송되지 않은 데 따른 불만이 많았다. 이어 택배화물운송서비스 관련 상담은 택배노조 파업으로 인한 배송 지연으로 반품이나 환불을 요청하는 사례가 늘면서 같은 기간 8.5% 뛰었다. 이 외에도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실손보험(증가율 139.3%) 관련 상담과 유사투자자문(107.5%) 상담이 많아졌다. 한편, 1월 전체 상담 건수는 4만4506건으로 지난달 대비 19.2% 감소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하이트진로가 3여 년 만에 소주류 제품의 출고가격을 인상한다. 18일 하이트진로에 따르면 오는 23일부터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오리지널의 공장 출고가격이 7.9% 오른다. 360ml 병과 일부 페트류가 인상 대상이다. 진로는 지난 2019년 출시 후 처음 출고가격을 인상하게 됐는데, 참이슬과 동일하게 7.9% 뛴다. 단 일품진로는 프리미엄 소주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이번 인상에서 제외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최근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공병 취급수수료, 제조경비 등 전방위적으로 큰 폭으로 원가가 상승했고 그동안 내부적으로 비용절감, 효율화를 통해 인상분을 흡수하려고 노력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3년 간 14% 이상의 가격 상승 요인이 발생, 지속되고 있으나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인상률을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롯데제과는 17일 롯데푸드 빙과사업 합병 관련 기사 보도에 대해 "당사는 현재까지 빙과사업 합병과 관련해 여러 가지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나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고 공시했다. 회사는 이와 관련해 향후 구체적인 사항이 결정되는 시점이나 1개월 이내에 재공시할 예정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IE 산업]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 '두부'마저 가격이 대대적으로 오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풀무원과 CJ제일제당은 최근 원재료비, 인건비와 같은 생산비 인상을 이유로 두부 제품의 가격을 올렸다. 국내 시장 1위 풀무원은 지난 10일 수입콩 두부 제품의 가격을 인상했다. 풀무원 수입콩 두부 가격 인상은 지난 2017년 2월 이후 5년 만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부침두부 290g'은 1350원에서 1450원으로 7.4% 올랐다. 또 '찌개두부 290g'은 1250원에서 1350원으로 8% 뛰었다. 오는 17일부터는 대형마트에서 묶음 단위로 판매되는 '풀무원 국산콩 투컵 두부 600g'도 5690원에서 5950원으로 4.6% 인상된다. CJ제일제당도 지난 3일 자사 두부 제품 브랜드 '행복한콩'의 수입콩과 국산콩 두부 가격을 각각 8%, 7% 올린 바 있다. '국산콩두부 찌개용 300gx2'는 4980원에서 5290원, '양념이 잘배는 찌개두부 300g'은 1300원에서 1400원으로 조정됐다. '종가집 두부'를 판매하는 대상은 내달께 두부 제품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품목과 인상 폭은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 이처럼 업계 1~3위 선두 기업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