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하는 집단감염을 제외하면 안정화 기미를 보이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사흘 만에 5만 명대로 내려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5만5365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603만7020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5만5315명은 국내 발생, 50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1만1073명 ▲부산 2468명 ▲대구 2508명 ▲인천 3254명 ▲광주 1458명 ▲대전 1785명 ▲울산 1018명 ▲세종 520명 ▲경기 1만6274명 ▲강원 1912명 ▲충북 1991명 ▲충남 2223명 ▲전북 1704명 ▲전남 1420명 ▲경북 2819명 ▲경남 2546명 ▲제주 364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3만600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52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531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200명, 위중·중증 환자는 323명이다. 8일 오후
[IE 금융] 자동차보험금 누수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초호화 상급병실에 대한 입원료 지급 기준이 높아졌다. 9일 국토교통부(국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동차보험 진료수가기준' 개선안을 오는 14일부터 시행한다고 알렸다. 교통사고 입원치료는 일반병실 사용이 원칙이지만 그동안 ▲치료 목적(전염병 등) ▲일반병실이 없어 부득이한 경우(7일 이내)에는 예외적으로 상급병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최근 소규모 의원급에서 일반병실이 없는 경우 적용하는 예외 규정을 악용해 병실을 상급병실 위주로 설치하고 고액의 병실료를 청구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상급병실 입원료 지급규모는 2016년 15억 원에서 2020년 110억 원, 2021년 343억 원까지 치솟았다. 이에 국토부는 관계기관 합동으로 지난해 9월 관련한 개선 필요성을 발표하고 규정 개선을 추진해 왔다. 이번에 발표한 개정안은 '치료 목적'의 경우는 현행대로 유지하되 '일반병실이 없어 부득이한 경우'를 병원급에만 적용하고 의원급에는 적용을 제외했다. 의료법상 치료 목적에 따라 병원급(입원)과 의원급(통원)의 시설과 인력을 달리 운영하는 취지를 반영한 것. /이슈에디코 전태민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하는 집단감염을 제외하면 안정화 기미를 보이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틀째 6만 명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6만2472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98만1655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6만2430명은 국내 발생, 42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1만2481명 ▲부산 2703명 ▲대구 2704명 ▲인천 3862명 ▲광주 1577명 ▲대전 1950명 ▲울산 93명 ▲세종 465명 ▲경기 1만8524명 ▲강원 2445명 ▲충북 2291명 ▲충남 2553명 ▲전북 1538명 ▲전남 1538명 ▲경북 3128명 ▲경남 2831명 ▲제주 349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3만4897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59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479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226명, 위중·중증 환자는 336명이다. 8일 오후 5시 기준 중환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하는 집단감염을 제외하면 안정화 기미를 보이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6만 명대로 급증했다. 지난 9월15일 7만444명 이후 54일 만에 최대 규모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6만227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91만9183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6만2221명은 국내 발생, 52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1만4158명 ▲부산 3174명 ▲대구 2717명 ▲인천 3901명 ▲광주 1214명 ▲대전 2231명 ▲울산 93명 ▲세종 658명 ▲경기 1만8232명 ▲강원 1989명 ▲충북 1922명 ▲충남 2577명 ▲전북 1638명 ▲전남 1463명 ▲경북 2428명 ▲경남 2687명 ▲제주 266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3만6291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30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420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235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하는 집단감염을 제외하면 안정화 기미를 보이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주말 영향을 받아 이레 만에 1만 명대로 내려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만8671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85만6910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1만8611명은 국내 발생, 60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3320명 ▲부산 569명 ▲대구 646명 ▲인천 1172명 ▲광주 519명 ▲대전 586명 ▲울산 280명 ▲세종 200명 ▲경기 6278명 ▲강원 821명 ▲충북 636명 ▲충남 730명 ▲전북 482명 ▲전남 440명 ▲경북 1054명 ▲경남 738명 ▲제주 154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770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18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390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122명, 위중·중증 환자는 365명이다. 6일 오후 5시 기
전일 책장 정리를 하다가 학창 시절 쓰던 영어사전을 다시 펼쳤습니다. 왜 청소나 정리를 하다 보면 꼭 목적에서 벗어난 짓을 하다가 시간을 버리는지 모르겠네요. (반박 시 저의 자동 패배) 공부하기 싫어 사전에 쓸데없이 모양을 내 적어둔 그때의 다짐들을 보며 어렸던 자신에게 한숨을 내뱉고 나서 머리말과 일러두기를 지나니 대망의 'A'가 나옵니다. 정리 도중에 아무 의미 없이 보는 영어사전이 이렇게 재밌을 줄 미처 몰랐습니다. A 하나와 두 개의 뜻까지는 대충 전체적으로 기억이 나는데 A 세 개부터는 흐릿해집니다. AAA가 농업조정법, 미국 자동차 서비스 협회라는 건 결국 떠올랐지만 그 이후는 마치 하얀 그림자 같네요. A 네 개가 지닌 의미는 Amateur Athletic Association of America(미국 아마추어 운동 경기 협회), American Association of Advertising Agency(미국 광고업 협회) 등이었습니다. A 네 개라 하면 우선 A4용지가 떠오르고 그 다음은 뭐 없나요? 건전지 규격은 AAA까지 사용해봤고요. 정리 도중에 뭐하는 짓인가 싶지만 이게 딴짓의 묘미인 만큼 기꺼이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AAAA(AAA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주말 영향을 받아 엿새 만에 3만 명대로 내려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3만6675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83만8239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3만6609명은 국내 발생, 66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7163명 ▲부산 1648명 ▲대구 1706명 ▲인천 2062명 ▲광주 945명 ▲대전 1068명 ▲울산 768명 ▲세종 317명 ▲경기 1만433명 ▲강원 1322명 ▲충북 1422명 ▲충남 1508명 ▲전북 1253명 ▲전남 920명 ▲경북 2162명 ▲경남 1695명 ▲제주 237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9658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18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372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143명, 위중·중증 환자는 346명이다. 5일 오후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사흘째 4만 명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4만90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80만1564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4만846명은 국내 발생, 57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8104명 ▲부산 1974명 ▲대구 1797명 ▲인천 2411명 ▲광주 975명 ▲대전 1366명 ▲울산 745명 ▲세종 366명 ▲경기 1만1761명 ▲강원 1555명 ▲충북 1407명 ▲충남 1702명 ▲전북 1227명 ▲전남 1140명 ▲경북 2243명 ▲경남 1859명 ▲제주 242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2만2276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41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354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171명, 위중·중증 환자는 314명이다. 4일 오후 5시 기준 중환자 병상과 일반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틀째 4만 명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4만3449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76만701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4만3400명은 국내 발생, 49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8677명 ▲부산 2092명 ▲대구 1953명 ▲인천 2633명 ▲광주 1046명 ▲대전 1391명 ▲울산 731명 ▲세종 397명 ▲경기 1만2709명 ▲강원 1634명 ▲충북 1490명 ▲충남 1782명 ▲전북 1290명 ▲전남 1061명 ▲경북 2361명 ▲경남 1916명 ▲제주 264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2만4019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35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315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221명, 위중·중증 환자는 304명이다. 3일 오후 5시 기준 중환자 병상과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사흘 만에 5만 명대를 벗어났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4만6896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71만7277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4만6841명은 국내 발생, 55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9547명 ▲부산 2217명 ▲대구 1767명 ▲인천 2874명 ▲광주 1202명 ▲대전 1509명 ▲울산 787명 ▲세종 419명 ▲경기 1만3826명 ▲강원 1827명 ▲충북 1622명 ▲충남 1760명 ▲전북 1426명 ▲전남 1063명 ▲경북 2612명 ▲경남 2134명 ▲제주 281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2만6247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41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280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209명, 위중·중증 환자는 290명이다. 2일 오후 5시 기준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틀째 5만 명대를 이어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5만4766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67만407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5만4688명은 국내 발생, 78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만940명 ▲부산 2423명 ▲대구 2420명 ▲인천 3306명 ▲광주 1326명 ▲대전 1651명 ▲울산 991명 ▲세종 524명 ▲경기 1만5980명 ▲강원 2271명 ▲충북 1984명 ▲충남 2211명 ▲전북 1608명 ▲전남 1381명 ▲경북 2997명 ▲경남 2367명 ▲제주 359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3만226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30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239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230명, 위중·중증 환자는 303명이다. 1일 오후 5시 기준 중환자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지난 9월14일(7만1444명) 이후 46일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5만8379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61만5667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5만8311명은 국내 발생, 68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만3017명 ▲부산 3032명 ▲대구 2459명 ▲인천 3748명 ▲광주 1095명 ▲대전 1967명 ▲울산 971명 ▲세종 517명 ▲경기 1만7056명 ▲강원 1982명 ▲충북 1813명 ▲충남 2237명 ▲전북 1557명 ▲전남 1537명 ▲경북 2526명 ▲경남 2608명 ▲제주 225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3만3821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33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209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165명, 위중·중증 환자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주말 영향을 받아 이레 만에 1만 명대로 떨어졌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1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만8510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55만7309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1만8454명은 국내 발생, 56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3099명 ▲부산 675명 ▲대구 730명 ▲인천 1188명 ▲광주 456명 ▲대전 573명 ▲울산 396명 ▲세종 179명 ▲경기 5938명 ▲강원 840명 ▲충북 633명 ▲충남 795명 ▲전북 591명 ▲전남 524명 ▲경북 908명 ▲경남 786명 ▲제주 161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225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18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9176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신규 입원자는 104명, 위중·중증 환자는 288명이다. 30일 오후 5시 기준 중환
[IE 사회] 핼러윈 이태원 압사 참사 인명피해가 300명을 상회한 것으로 집계. 3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발표를 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이번 사고 사망자는 154명, 중상자 33명, 경상자 116명으로 전일 오전 10시 집계 결과와 비교해 사망자 3명, 중상자 14명, 경상자 53명 증가. 총 사상자는 303명으로 파악된 가운데 당초 피해 연령대가 10~20대에 집중됐다는 브리핑과 달리 20대가 대다수. 103명의 20대 사망자 중 남성 56명, 여성은 98명. 외국인 사망자는 26명으로 국적별로는 ▲이란 5명 ▲중국 4명 ▲러시아 4명 ▲미국·일본 2명 ▲노르웨이·베트남·스리랑카·우즈베키스탄·오스트리아·카자흐스탄·태국·프랑스·호주 1명. 아울러 사망자 154명 가운데 파악 중인 한 명을 제외한 153명의 신원 확인. 이와 함께 대검찰청은 전일 밤 9시 기준 사망자 122명의 검시를 마치고 84명의 시신을 유족에게 인도.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플러스 정보 현재 환자들은 ▲강북삼성병원 ▲건국대병원 ▲경희대병원 ▲강동경희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일산동국대병원 ▲안양샘병원 ▲이대목동병원 ▲이
[IE 사회] 핼러윈 데이를 맞이하려는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사례가 없던 압사 사고 발생. 30일 오전 10시 현재 소방당국 집계는 사망자 151명(여성 97·남성 54, 외국인 19명 포함), 부상자 82명으로 전체 사상자 수 233명. 아울러 부상자 중 19명은 중상, 63명은 경상. 이날 오전 이태원 일대를 세 차례 현장 수색한 소방당국의 전언을 빌리면 이 사고는 한 골목에 인파가 몰리며 발생했고 피해자 연령대는 거의 다 10~20대. 최근 대규모 행사로 서울 여의도에서 개최됐던 서울세계불꽃축제에는 100만 명 이상의 인파가 몰렸음에도 서울시를 위시한 종합안전본부를 축 삼아 적절한 통제가 이뤄져 큰 탈 없이 축제 분위기를 즐겼지만 이번 사고는 안전관리를 맡은 행사 주최 측이 불명확했다는 진단. 현재 서울경찰청은 용산경찰서에 수사본부를 구성해 수사에 착수했고 대검찰청은 사고대책본부와 비상대책반을 꾸린 상황.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플러스 정보 현재 환자들은 ▲강북삼성병원 ▲건국대병원 ▲경희대병원 ▲강동경희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일산동국대병원 ▲안양샘병원 ▲이대목동병원 ▲이대서울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