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사회] 유럽에서 확산 중인 오미크론 신규 하위 변이 'BF.7'의 국내 검출비율이 올라가는 와중에 검출 속도 역시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세종인 'BA.5'보다 18% 빨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전언을 통해 경고.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임숙영 상황총괄단장은 정례브리핑 중 이같이 설명하며 BF.7에 대한 지속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 아울러 BF.7는 현재 전 세계 67개 나라에서 1만 4000건 정도 확인된 상황으로 BA.5와 비교해 스파이크단백질 1개에서 추가 변이가 발생했다고도 부연. 방대본 자료를 보면 9월 셋째 주 0.07%에 머물렀던 BF.7 검출률은 같은 달 넷째 주 0.3%, 10월 첫째 주 0.3%, 둘째 주 1.8%까지 상향. 여기 그치지 않고 인도에서 퍼지는 'BA.2.75.2' 'XBB' 'BQ.1'의 국내 검출건수 역시 증가세. 9월 셋째 주 0.3%에서 현재 1% 도달. 특히 스웨덴 카롤린스키연구소에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BA.2.75.2는 현재까지 존재하는 오미크론 변이 가운데 면역 회피력이 가장 센 것으로 파악. 재조합 변이바이러스 XBB는 이달 7일 국내 첫 확인 이후 14건, B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하루 문에 소폭 감소세로 돌아섰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9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만950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19만4177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만9431명은 국내 발생, 72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5888명 ▲부산 1409명 ▲대구 1359명 ▲인천 1813명 ▲광주 678명 ▲대전 822명 ▲울산 572명 ▲세종 208명 ▲경기 8458명 ▲강원 1244명 ▲충북 934명 ▲충남 1060명 ▲전북 885명 ▲전남 662명 ▲경북 1824명 ▲경남 1440명 ▲제주 175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6159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43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899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43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6549명, 비수도권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엿새 만에 다시 3만 명대로 증가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8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3만3248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16만4695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3만3161명은 국내 발생, 87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7527명 ▲부산 1782명 ▲대구 1454명 ▲인천 2178명 ▲광주 672명 ▲대전 978명 ▲울산 616명 ▲세종 247명 ▲경기 9452명 ▲강원 1070명 ▲충북 933명 ▲충남 1283명 ▲전북 893명 ▲전남 788명 ▲경북 1504명 ▲경남 1606명 ▲제주 178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9157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6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856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47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5114명, 비수도권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주말 영향으로 1만 명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만1040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13만1505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1만959명은 국내 발생, 81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921명 ▲부산 408명 ▲대구 465명 ▲인천 718명 ▲광주 258명 ▲대전 350명 ▲울산 211명 ▲세종 98명 ▲경기 3369명 ▲강원 498명 ▲충북 312명 ▲충남 421명 ▲전북 322명 ▲전남 291명 ▲경북 646명 ▲경남 572명 ▲제주 128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5998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11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851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48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7780명, 비수도권 5044명을 합쳐 1만2824명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나흘째 2만 명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6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만1469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12만465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만1382명은 국내 발생, 87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4190명 ▲부산 993명 ▲대구 1050명 ▲인천 1281명 ▲광주 565명 ▲대전 618명 ▲울산 437명 ▲세종 190명 ▲경기 6091명 ▲강원 735명 ▲충북 647명 ▲충남 845명 ▲전북 672명 ▲전남 545명 ▲경북 1330명 ▲경남 1034명 ▲제주 159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1562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32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840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47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1721명, 비수도권 9598명을 합쳐 2만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사흘째 2만 명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5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만2844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09만8996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만2791명은 국내 발생, 53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4575명 ▲부산 1178명 ▲대구 1108명 ▲인천 1390명 ▲광주 546명 ▲대전 696명 ▲울산 458명 ▲세종 179명 ▲경기 6431명 ▲강원 804명 ▲충북 772명 ▲충남 770명 ▲전북 675명 ▲전남 603명 ▲경북 1324명 ▲경남 1092명 ▲제주 190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2396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25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808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45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2473명, 비수도권 1만113명을 합쳐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틀째 2만 명대를 이어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만359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07만6239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만3523명은 국내 발생, 60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4831명 ▲부산 1111명 ▲대구 966명 ▲인천 1408명 ▲광주 514명 ▲대전 731명 ▲울산 485명 ▲세종 171명 ▲경기 6589명 ▲강원 900명 ▲충북 775명 ▲충남 893명 ▲전북 704명 ▲전남 647명 ▲경북 1460명 ▲경남 1190명 ▲제주 148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2828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35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783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37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3457명, 비수도권 1만609명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다시 2만 명대로 떨어졌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3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만6957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05만2677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만6886명은 국내 발생, 71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5254명 ▲부산 1206명 ▲대구 1250명 ▲인천 1658명 ▲광주 691명 ▲대전 728명 ▲울산 537명 ▲세종 230명 ▲경기 7443명 ▲강원 1072명 ▲충북 1038명 ▲충남 967명 ▲전북 822명 ▲전남 649명 ▲경북 1700명 ▲경남 1416명 ▲제주 271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4339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25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748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66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4778명, 비수도권 1만25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레 만에 3만 명대로 증가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3만535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502만5749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3만465명은 국내 발생, 70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6801명 ▲부산 1692명 ▲대구 1630명 ▲인천 1870명 ▲광주 545명 ▲대전 852명 ▲울산 541명 ▲세종 237명 ▲경기 8484명 ▲강원 1030명 ▲충북 944명 ▲충남 1029명 ▲전북 879명 ▲전남 729명 ▲경북 1481명 ▲경남 1543명 ▲제주 178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7155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15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723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63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4518명, 비수도권 1만2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한글날 연휴를 마치자마자 다시 1만 명대로 늘어났다. 다만 사망자는 지난 7월12일 7명 이래 최소치로 파악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1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만5476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499만5246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1만5381명은 국내 발생, 95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3052명 ▲부산 794명 ▲대구 564명 ▲인천 929명 ▲광주 338명 ▲대전 469명 ▲울산 342명 ▲세종 141명 ▲경기 4397명 ▲강원 480명 ▲충북 518명 ▲충남 636명 ▲전북 486명 ▲전남 467명 ▲경북 730명 ▲경남 915명 ▲제주 123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8378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10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708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313명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지난 7월4일 6242명 이후 98일 만에 1만 명대 아래로 내려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8981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497만9770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8934명은 국내 발생, 47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493명 ▲부산 316명 ▲대구 472명 ▲인천 569명 ▲광주 233명 ▲대전 273명 ▲울산 186명 ▲세종 76명 ▲경기 2632명 ▲강원 418명 ▲충북 349명 ▲충남 327명 ▲전북 302명 ▲전남 257명 ▲경북 543명 ▲경남 409명 ▲제주 79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4694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23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698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311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6010명, 비수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틀째 1만 명대를 이어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만7654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497만789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1만7593명은 국내 발생, 61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3551명 ▲부산 884명 ▲대구 962명 ▲인천 974명 ▲광주 422명 ▲대전 459명 ▲울산 309명 ▲세종 133명 ▲경기 4667명 ▲강원 540명 ▲충북 636명 ▲충남 700명 ▲전북 578명 ▲전남 491명 ▲경북 1130명 ▲경남 1107명 ▲제주 150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9192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29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675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305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9530명, 비수도권 8210명을 합쳐 1만77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지난 4일 이후 나흘 만에 다시 1만 명대로 내려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만9431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495만3135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1만9372명은 국내 발생, 59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3962명 ▲부산 948명 ▲대구 1016명 ▲인천 1060명 ▲광주 470명 ▲대전 502명 ▲울산 365명 ▲세종 148명 ▲경기 5321명 ▲강원 690명 ▲충북 666명 ▲충남 752명 ▲전북 656명 ▲전남 499명 ▲경북 1107명 ▲경남 1055명 ▲제주 155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343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32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646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287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2194명,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틀째 2만 명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만2298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493만3756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만2244명은 국내 발생, 54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4319명 ▲부산 1053명 ▲대구 1467명 ▲인천 1298명 ▲광주 519명 ▲대전 592명 ▲울산 354명 ▲세종 176명 ▲경기 6145명 ▲강원 799명 ▲충북 776명 ▲충남 804명 ▲전북 697명 ▲전남 565명 ▲경북 1280명 ▲경남 1224명 ▲제주 178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1762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41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614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329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3110명, 비수도권 1만341명을 합쳐
[IE 사회] 전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수도권 및 지방자치단체 곳곳의 요양·복지시설과 요양병원, 일반 병원 등 전국 각지에서 접촉자를 연결고리 삼아 발생한 집단감염 여파 탓에 갈피를 잡지 못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어제보다 6000여 명 떨어진 2만 명대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2만8648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491만1497명이라고 알렸다. 이 중 2만8566명은 국내 발생, 82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5220명 ▲부산 1316명 ▲대구 1608명 ▲인천 1603명 ▲광주 681명 ▲대전 742명 ▲울산 579명 ▲세종 221명 ▲경기 7790명 ▲강원 1125명 ▲충북 1039명 ▲충남 1051명 ▲전북 928명 ▲전남 692명 ▲경북 1900명 ▲경남 1567명 ▲제주 258명이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4899명을 기록했다. 사망자는 29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2만8573명, 전체 치명률은 전일과 동일한 0.11%다. 위중·중증 환자는 325명이다. 전일 신규 재택치료자는 수도권 1만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