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사회]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가운데 불안정한 추이를 보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사흘째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다만 경기도의 신규 확진자 증가세도 그대로였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8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91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5199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71명은 국내 발생, 20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8명 ▲부산 2명 ▲인천 1명 ▲대전 1명 ▲경기 48명 ▲강원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17명(필리핀 1·우즈베키스탄 1·러시아 10·인도 1·네팔 3·쿠웨이트 1) ▲터키 1명 ▲아메리카 2명(미국 1·멕시코 1)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13명, 격리단계에서는 7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4명, 외국인 16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688명 ▲부산 556명 ▲대구 7142명 ▲인천 994명 ▲광주 500명 ▲대전 416명 ▲울산 156명 ▲세종78명 ▲경기 4851명 ▲강원 237명 ▲충북 180명 ▲충남 503명 ▲전
[IE 사회]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가운데 불안정한 추이를 보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73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5108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62명은 국내 발생, 11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7명 ▲부산 6명 ▲인천 1명 ▲경기 32명 ▲강원 3명 ▲충남 2명 ▲경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7명(우즈베키스탄 1·러시아 2·인도 2·네팔 1·일본 1) ▲폴란드 3명 ▲미국 1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5명, 격리단계에서는 6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7명, 외국인 4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668명 ▲부산 552명 ▲대구 7142명 ▲인천 993명 ▲광주 500명 ▲대전 415명 ▲울산156명 ▲세종 78명 ▲경기 4801명 ▲강원 235명 ▲충북 180명 ▲충남 503명 ▲전북 155명 ▲전남 177명 ▲경북 1571명 ▲경남 299명▲제주 59명 등이다
[IE 정치] 청와대가 '8·15 광화문 시위에 참가한 확진자는 자비로 치료시켜야 한다'는 국민청원에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의무사항이자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역전략 수단으로써 입원치료비용을 지원하지 않는 것은 어렵다"고 입장을 밝혔다. 16일 청와대에 따르면 한 청원인은 지난 8월17일 "감염병예방법을 지키지 않고 8.15 광화문 집회에 참여한 확진자까지 국민 세금으로 치료비를 지원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집회 참여 확진자의 치료비를 자부담시켜야 한다"고 국민청원을 올렸고 해당 청원에는 40만131명의 국민이 동의했다. 이에 답변자로 나선 보건복지부 강도태 제2차관은 "확진자의 경우 관련 입원치료비용에 대해서는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된다"며 "이후 입원치료비용 중 환자 본인부담금에 대해서 감염병예방법에 근거해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의무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확진자의 입원치료비용을 지원하는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함"이라며 "8·15 집회에 참가한 확진자에게도 치료비가 지원된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확진자와 접촉 가능성이 있거나 미세한 증상이라도 발현될 경우 적극적으로 검사를 실시,
[IE 정치]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올해 41주년을 맞이한 '부마민주항쟁' 기념 메시지를 올렸다. 이날 문 대통령은 메시지를 통해 "그날, 부산과 마산의 거리에서 함께했던 시민들을 기억하며 기념식을 준비하고 부마민주항쟁을 잊지 않도록 애써주고 계신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특별히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두 번째 기념식이 항쟁이 시작됐던 부산대학교에서 열리게 돼 감회가 깊다"고 말했다.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은 부산과 창원에서 번갈아 열린다. 지난해 경남대학교에서 열린 첫 번째 기념식에는 문 대통령이 직접 참석했지만, 이번 부산에서 열리는 기념식에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참석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부마민주항쟁은 결코 무너지지 않을 것 같았던 유신독재를 끝내는 기폭제였다"며 "4.19혁명 정신을 계승해 광주민주화운동, 6월항쟁, 촛불혁명까지 민주주의의 불씨를 살린 대한민국 민주주의 운동사의 큰 획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민과 노동자가 함께, 민주주의가 국민 모두의 것이라고 알린 대규모 항쟁이었다"고 부연였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우리는 여전히 '나'와 '이웃'을 위한 자발적 방역과 '모두를 위한 자유'를 실천하며 새로운 민주주
[IE 사회]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가운데 불안정한 추이를 보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두 자릿수가 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6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47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5035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41명은 국내 발생, 6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7명 ▲경기 15명 ▲인천 4명 ▲대전 2명 ▲전북 2명 ▲충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3명(인도 2·네팔 1) ▲체코 1명 ▲미국 2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3명, 격리단계에서는 3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1명, 외국인 5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632명 ▲부산 546명 ▲대구 7141명 ▲인천 987명 ▲광주 499명 ▲대전 413명 ▲울산 156명 ▲세종 78명 ▲경기 4752명 ▲강원 232명 ▲충북 180명 ▲충남 500명 ▲전북 153명 ▲전남 176명 ▲경북 1571명 ▲경남 297명 ▲제주 59명 등이다. 이날 사망자는 두 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441명
[IE 사회]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두세 자릿수를 오가며 불안정한 않은 추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부산 지역은 전날 해뜨락요양병원 집단 감염 여파로 신규 확진자가 50명을 넘어섰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5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10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988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95명은 국내 발생, 15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22명 ▲부산 54명 ▲인천 11명 ▲대전 1명 ▲경기 6명 ▲강원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7명(우즈베키스탄 2·필리핀 1·러시아 1·인도 1·미얀마 2) ▲유럽 3명(몰도바 1·프랑스 1·우크라이나 1) ▲아메리카 4명(미국 2·캐나다 1·브라질 1) ▲이집트 1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6명, 격리단계에서는 9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3명, 외국인 12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632명 ▲부산 546명 ▲대구 7141명 ▲인천 987명 ▲광주 499명 ▲대전 413명 ▲울
[IE 사회]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전일 세 자릿수까지 올랐다가 다시 두 자릿수로 내려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84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889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53명은 국내 발생, 31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23명 ▲경기 15명 ▲인천 8명 ▲대전 4명 ▲부산 2명 ▲충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16명(필리핀 5·일본 3·우즈베키스탄 2·네팔 2·러시아 2·미얀마 1·쿠웨이트 1) ▲아메리카 15명(미국 13·멕시코 1·과테말라 1)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14명, 격리단계에서는 17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2명, 외국인 29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607명 ▲부산 491명 ▲대구 7141명 ▲인천 976명 ▲광주 499명 ▲대전 412명 ▲울산 156명 ▲세종 78명 ▲경기 4744명 ▲강원 231명 ▲충북 179명 ▲충남 500명 ▲전북 152명 ▲전남 176명
[IE 사회] 유통하는 과정에서 '상온 노출' 사고로 접종이 중단됐던 2020~2021절기 겨울철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 사업이 13일 전국 보건소와 2만1000여 곳의 접종 지정 의료기관에서 재개된다. 이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만 13~18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독감 무료예방접종 사업이 이뤄진다. 질병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상황을 고려, 접종자를 분산시키기 위해 접종사업 기간을 연령별로 나눴다. 오는 19일부터는 만 70세 이상, 26일부터는 만 62~69세 어르신이 접종 대상이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와 임신부 대상 무료접종은 지난달 25일부터 시작됐다. 이번 독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기간은 독감 유행 시기와 함께 항체가 접종 2주 뒤부터 생성되고 이 항체가 평균 6개월 정도 유지되는 점을 고려해 오는 12월31일까지로 결정됐다. 질병청 측은 "안전한 예방접종 시행을 위해 접종 시기에 맞춰 사전 예약 후 의료기관을 방문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만 13∼18세와 임신부를 대상으로 한 접종 사업은 지난달 22일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백신 일부가 유통 중 상온에 노출되면서 하루 전에 중단됐다. 당국은 이후 2주간 독감백신
[IE 사회]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엿새 만에 다시 세 자릿수를 나타냈다. 이는 해외 유입 사례가 소폭 늘었기 때문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3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102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805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69명은 국내 발생, 33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경기 32명 ▲서울 18명 ▲대전 9명 ▲강원 4명 ▲충남 2명 ▲부산 1명 ▲광주 1명 ▲충북 1명 ▲전북 1명 ▲경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26명(러시아 14·일본 5·네팔 4·우즈베키스탄 1·필리핀 1·방글라데시 1) ▲아메리카 6명(미국 4·캐나다 1·브라질 1) ▲우크라이나 1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21명, 격리단계에서는 12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4명, 외국인 29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584명 ▲부산 489명 ▲대구 7141명 ▲인천 968명 ▲광주 499명 ▲대전 408명 ▲울산 155명 ▲세종 78명 ▲경기 471
[IE 사회] 12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내려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닷재째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다만 국내 신규 확진자 수는 약 20명 올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2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97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703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68명은 국내 발생, 29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29명 ▲부산 3명 ▲인천 3명 ▲광주 1명 ▲대전 13명 ▲경기 16명 ▲강원 1명 ▲전북 1명 ▲경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25명(우즈베키스탄 3·파키스탄 ·카자흐스탄 1·필리핀 2·인도 4·인도네시아 1·네팔 13) ▲미국 2명 ▲터키 1명 ▲알제리 1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9명, 격리단계에서는 20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5명, 외국인 24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564명 ▲부산 488명 ▲대구 7140명 ▲인천 968명 ▲광주 497명 ▲대전 398명 ▲울산 155명 ▲세종 78명 ▲경기 4675명 ▲강원 227명 ▲충북 178
[IE 사회] 일부 보수단체와의 큰 충돌 없이 연휴가 지나가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나흘째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1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58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606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46명은 국내 발생, 12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9명 ▲부산 3명 ▲인천 1명 ▲대전 2명 ▲경기 18명 ▲강원 2명 ▲충남 1명 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8명(필리핀 1·방글라데시 1·우즈베키스탄 1·인도 3·러시아 1·요르단 1) ▲유럽 2명(터키 1·우크라이나 1) ▲아메리카 2명(미국 1·브라질 1)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3명, 격리단계에서는 9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6명, 외국인 6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533명 ▲부산 484명 ▲대구 7140명 ▲인천 965명 ▲광주 496명 ▲대전 385명 ▲울산 155명 ▲세종 78명 ▲경기 4646명 ▲강원 226명 ▲충북 178명 ▲충남 495명 ▲전북 149명 ▲전남 176명 ▲
[IE 사회] 일부 보수단체와의 큰 충돌 없이 한글날이 지나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사흘째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72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548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61명은 국내 발생, 11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23명 ▲부산 3명 ▲인천 8명 ▲대전 1명 ▲경기 24명 ▲충남 1명 ▲전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6명(아랍에미리트 2·필리핀 1·인도 1·키르기스스탄 1·쿠웨이트 1) ▲유럽 5명(네덜란드 1·터키 1·프랑스 1·폴란드 2)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5명, 격리단계에서는 6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6명, 외국인 5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510명 ▲부산 481명 ▲대구 7139명 ▲인천 964명 ▲광주 496명 ▲대전 383명 ▲울산 154명 ▲세종 78명 ▲경기 4625명 ▲강원 224명 ▲충북 178명 ▲충남 494명 ▲전북 149명 ▲전남 176명 ▲경북 1568명 ▲경남 29
[IE 사회] 일부 보수단체들의 집회 예고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우려되는 가운데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54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476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38명은 국내 발생, 16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7명 ▲부산 5명 ▲대전 5명 ▲경기 9명 ▲충북 1명 ▲전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5명(필리핀 2·인도 1·인도네시아 2) ▲네덜란드 1명 ▲아메리카 8명(미국 7·멕시코 1) ▲아프리카 2명(에티오피아 1·나이지리아 1)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6명, 격리단계에서는 10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4명, 외국인 12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485명 ▲부산 478명 ▲대구 7138명 ▲인천 956명 ▲광주 496명 ▲대전 382명 ▲울산 154명 ▲세종 78명 ▲경기 4601명 ▲강원 224명 ▲충북 178명 ▲충남 491명 ▲전북 149명 ▲전남 174명 ▲경북 1568명 ▲경남 296
[IE 사회] 전날 세 자릿수를 기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두 자릿수로 내려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자정 기준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가 69명 증가해 총 누적 확진자 수가 2만4422명이라고 알렸다. 신규 확진자 중 60명은 국내 발생, 9명은 해외 유입으로 잠정 확인됐다. 이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 19명 ▲부산 5명 ▲인천 5명 ▲대전 7명 ▲경기 22명 ▲경북 1명 ▲경남 1명이다. 이날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아시아 5명(필리핀 1·인도네시아 3·미얀마 1) ▲폴란드 1명 ▲미국 3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검역단계에서 3명, 격리단계에서는 6명이다. 국적으로 보면 내국인 2명, 외국인 7명이다. 현재까지 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서울 5443명 ▲부산 468명 ▲대구 7137명 ▲인천 951명 ▲광주 496명 ▲대전 370명 ▲울산 154명 ▲세종 78명 ▲경기 4565명 ▲강원 224명 ▲충북 176명 ▲충남 491명 ▲전북 149명 ▲전남 173명 ▲경북 1567명 ▲경남 292명 ▲제주 59명 등이다. 이날 사망자는 두 명 발생해 누적 사망자는 427명, 전체 치명률은
[IE 정치] 21대 국회의 첫 국정감사(국감)가 7일 막을 올렸다. 이번 국감은 오는 26일까지 20일간 진행된다. 우선 첫날에는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 국방위원회(국방위), 정무위원회(정무위), 기획재정위원회(기획재정위) 등 14개 상임위원회가 소관 기관을 상대로 감사를 진행한다. 이번 국감에서는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살 사건으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외통위)와 국방위원회(국방위)가 최대 관심사로 꼽히고 있다. 외통위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남편 이일병 연세대 교수의 요트 구매 출국 논란까지 있어 더욱 주목을 받는다. 국방위도 법무부 추미애 장관 아들 병역 문제에 대한 여야 간의 기싸움 탓에 격돌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올해 국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예년보다 축소됐다. 외통위가 현지 재외공관 국감을 취소했으며 각 상임위 역시 지방소재 기관을 방문하는 현장 감사를 줄였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