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LG전자가 인도법인 지분 15% 구주 매각을 통한 인도 증시에 입성한다.
1일 LG전자에 따르면 이번 인도법인 지분 15%에 대한 공모가 밴드(범위)가 1조7384억~1조 8350억 원으로 확정해 공시했다. 주당 공모가는 최소 1만7000원(1080루피)에서 최대 1만8000원(1140루피)이며 처분 예정일자는 이달 13일, 최종 상장일은 이보다 하루 뒤인 14일이다.
처분 금액은 밴드 최하단 가격인 1조7384억 원을 기준으로 공시했지만, 실제 금액은 이보다 높은 수준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LG전자 관계자는 "만약 공모가 최상단에 결정되면 인도법인은 최대 12조 원 이상 기업가치를 평가받는데, 이는 인도 증시에 상장된 피어 그룹(비교 기업)의 시가총액 규모와 비교해도 상당히 높다"고 언급했다.
인도 내 주요 가전기업 시가총액을 보면 월풀 인도법인이 약 2조4000억 원이며 인도 타타그룹 계열 가전기업인 볼타스는 약 7조2000억 원이다.
이번 IPO는 신주 발행 없이 LG전자 본사가 구주 매출로 매각 자금을 전액 환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IPO 이후 유입되는 자금은 지분투자, 인수합병 등 미래 성장 투자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또 확보 자금 일부는 주주가치 제고에도 활용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NH투자증권 황지현 연구원은 이날 "이번 인도법인 IPO를 통한 자금 활용처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중장기 성장 동력을 뒷받침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또 IBK투자증권 김운호, 강민구 연구원은 지난 18일 발간한 기업분석 보고서를 통해 "4분기는 비수기지만 인도법인 상장으로 현금흐름 대폭 개선이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 역시 지난 2월 "LG전자 인도법인 IPO는 향후 회사 재무지표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제언한 바 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인도 가전시장은 높은 인구 밀집도와 경제성장률과 달리 가전 보급률이 낮아 성장이 기대되는 곳 중 하나. 주요 가전 보급률은 냉장고 40%, 세탁기 20%, 에어컨 10% 수준.
LG전자는 지난 1997년 인도 시장 진출 이후 28년간 인도 전역에 걸쳐 철저한 현지 완결형 사업체제를 구축했으며 현재 인도 내 두 개 생산기지와 51개 지역 사무소, 780여 개 브랜드숍을 운영 중.
남부 스리시티 지역에는 기존 노이다, 푸네 공장에 이은 세 번째 생산기지도 짓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