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오리온, 평창과 감자 재배 위한 녹비작품 활용·개발 위한 MOU 체결

 

[IE 산업] 오리온이 1일 강원도 평창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강원도 평창군청, 육백마지기 생태농장과 '국내 재생유기농업 확산 기반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이날 오리온에 따르면 이번 협약 이후 오리온은 국립농업과학원과 강원권 감자 재배에 적합한 녹비작물 활용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에 착수. 평창군청은 지역 농가에 재배기술과 농기계 등을 지원하고 육백마지기 생태농장은 2000㎡(약 600평) 규모의 종자 증식 재배지를 조성할 예정.

 

녹비작물은 토양 영양성분을 높여주고 흙이 휩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농업의 필수 작물 중 하나로 주목. 국내에서는 녹비작물로 호밀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약 70%를 수입에 의존.

 

이에 정부 차원에서도 국내산 녹비작물 확대와 보급을 위한 기반 조성에 나서는 중. 오리온은 수십 년간 감자 신품종 연구 개발에 기여한 점과 영농기술 보급 활동들을 높이 평가받아 이번 협약에 참여, 감자를 대상으로 국산 녹비작물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

 

이를 위해 평창군에 위치한 오리온 감자연구소 내에 1500㎡(약 450평) 규모의 시험재배지를 구축, 국내 재배환경의 적합성과 화학비료 대체 효과성을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할 계획.

 

한편, 오리온은 지난 1988년 강원도 평창에 국내 최초로 감자연구소를 설립했으며 40년 가까이 두백(2000년), 진서(2023년), 정감(2024년) 등 신품종을 개발.


2018년 두백을 시작으로 지난 2023년 진서 품종까지 국산 씨감자를 베트남에 수출했으며 작년에는 중국에서 감자 신품종 'OA2132(Orion Agro 2132)' 개발을 완료, 현지 품종보호 출원을 진행 중.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오리온 감자연구소는 전 세계 세 곳뿐인 감자연구소 중 하나로 꼽힘. 나머지 두 곳은 미국 핍시코(PepsiCO)와 일본 가루비(Calbee).

 

이곳에서 신품종을 개발하는 데 인공교배부터 선발까지 평균 10년 이상 소요되며 성공 확률은 50만분의 1. 이 밖에도 계약 재배 농가에 씨감자를 공급하고 재배 교육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