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금융] 금융위원회(금융위)가 일명 '빚투(빚내서 투자)'에 해당하는 신용거래융자가 뛰면서 전체 가계부채 증가세를 이끌었다는 지적과 함께 금융당국 수장들이 안일한 발언을 했다는 논란이 일자 해명에 나섰다.
17일 금융위는 '최근 신용대출·신용거래융자 동향 및 리스크 관리 현황'을 공개하며 빚투의 경우 투자자 본인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금융위는 "전 금융권 신용대출은 올해 1~10월 중 2조 원 순감해 과거 평균 대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10월 중 신용대출은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통상 이 기간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신용대출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용대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리스크를 면밀하게 관리 중"이라며 "신용대출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용거래융자는 고객이 증권사에서 미리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행위인데, 상승장 때 대출을 이를 지렛대(레버리지) 삼아 수익을 늘릴 수 있다. 다만 이때 산 주식은 대출 담보가 되며 주가가 내려가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 증권사에 의해 강제 매도(반대 매매)될 위험성이 있다.
앞서 지난 4일 금융위 권대영 부위원장은 "그간 (빚투를) 나쁘게만 봤는데, 이는 레버리지의 일종"이라고 언급한 뒤 논란이 일자 "말의 진의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측면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사과한 바 있다.
이어 같은 달 12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위 이억원 위원장은 빚투로 신용대출이 증가한 부분에 대해 "자기 책임 아래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전체적인 가계부채 증가를 견인한다거나, 건전성에 위협을 주는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내비쳐 입방아에 올랐다.
이에 금융위가 다시 한번 빚투에 대해 엄격한 리스크 관리 중요성을 언급한 것. 여기 더해 금융위는 "증시 활성화로 신용거래융자 절대 규모가 증가했다"며 "증권사별 총량 제한, 보증금율·담보비율 제한, 고객·종목별 한도 차등 등을 통해 신용거래융자 리스크를 면밀히 관리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금융투자협회·한국거래소와 협의해 투자자의 신중한 판단과 업계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전파했다"며 "금융감독원(금감원)에도 증권사 간담회를 통해 신용공여 한도를 재점검하는 등 리스크 관리와 투자자 보호 강화도 요청했다"고 부연했다.
현재 금융위는 증권사별 신용거래융자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일별로 전환, 일일 동향을 집중 점검하고 있다. 이 외에도 관련한 리스크를 점검해 금융시장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이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
+플러스 생활정보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도 지난 달 "일부 투자자에게는 레버리지 투자가 부적합할 수 있기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 국내 증시가 호황을 띄자 신용융자로 투자하는 청년층과 50~60대 투자자가 늘어났기 때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