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E 금융] 지난달 30일 시행된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 시행에 대해 성인 고객 50%가 긍정적인 대답을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화생명은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 시행에 맞춰 종신보험에 대한 고객 인식과 새로운 활용 가치를 분석한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화생명과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함께 지난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30세 이상 성인 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를 통해 종신보험의 인식 현황과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살핀 것.
우선 응답자 중 절반(49.4%)은 종신보험의 가장 큰 불만으로 '당장 받는 혜택이 없다'고 답했으며 '보험금의 가치 하락(23.3%)', '유연하게 활용하기 어려운 점(21.1%)' 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같은 고객 불만을 인지한 금융당국과 보험사가 내놓은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종신보험의 사후 중심 구조를 생전 중심으로 바꾸는 기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대한 제도를 설명한 뒤 측정한 매력도는 평균 64.7점, 긍정 응답은 53.4%로 나타났다. 또 제도를 통한 종신보험의 부정적인 인식 완화 정도도 평균 63.74점, 긍정 응답은 50.7%로 절반 이상이었다.
이들 고객은 이 제도가 도움이 될 상황으로는 '은퇴 후 노후 생활비(37.0%), '중대질병 의료비(24.4%)', '간병비(23.3%)' 등을 꼽았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40~50대 기혼 유자녀 가구'는 종신보험의 전통적 가치(가족 보장)와 신규 가치(생애 자산 활용)에 모두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은퇴 후 생활비 보완'에 대한 니즈가 40대 41.0%, 50대 44.9%로 높았다. 또 '능동적 자산 활용'에 대한 공감도도 높게 조사됐다.
제도 시행에 대해 응답자들은 상품 구조의 투명성 강화와 함께 '요양·간병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 결합(68.6%)을 통해 고객 신뢰와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을 '사후 보장'에서 '생전 자산'으로 확장하는 혁신 제도"라며 "고객이 생애 전반에서 보험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겠다"고 말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
+플러스 생활정보
한화생명, 삼성생명, 교보생명, 신한라이프생명, KB라이프생명 등에서 사망보험금 유동화를 신청한 소비자는 유동화 비율과 지급기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음. 금융당국은 유동화 적용 연령을 65세에서 55세로 확대. 또 소비자 선택 폭을 넓히기 위해 12개월 치 연금금액을 일시에 지급하는 '연지급형'을 신설.
설계사를 통한 신청은 불가능하며, 고객이 직접 고객센터나 영업점을 방문해 대면 신청만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