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Info] 오늘은 6.25 전쟁이 발발한 지 68주년 되는 해다. 지난 1950년 발생한 이 전쟁은 근현대사 중 가장 비극적인 사건으로 꼽히며 대다수 국민들의 마음 한편에 자리 잡고 있다. 이슈에디코에서는 독자들이 알 법한, 또는 모를 법한 6.25 전쟁 관련 얽히고 섥힌 정보를 'A TO Z'로 모아봤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IE Info] 1995년 미국 피츠버그에 위치한 은행 두 곳에서 돈을 훔쳐 달아가던 은행털이범 맥아더 휠러(McAther Wheeler). 그가 한 시간 만에 경찰에 붙잡히고만 이유가 뭘까요? 레몬주스로 글을 쓰면 평소에는 보이지 않다가 열을 가했을 때 드러납니다. 맥아더 휠러는 똑똑하게도(?) 이 과학 상식을 은행털이에 접목시켰습니다. 레몬주스를 투명 잉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레몬주스를 바르면 얼굴이 투명해져 화면에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죠. 그래서 그는 레몬주스를 바른 얼굴을 하나도 가리지 않고 은행을 털었습니다. 이에 경찰은 그의 맨 얼굴을 CCTV에서 확인해 그를 한 시간만에 추적할 수 있었죠. 체포당한 그에게 경찰이 CCTV영상을 보여줬더니 그는 깜짝 놀라며 한 마디를 남겼습니다. "레몬주스를 뿌렸는데…" 맥아더 휠러의 레몬주스 사건에 영감을 받은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 코넬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인 데이비드 더닝이었죠. 그는 당시 대학원생이던 저스틴 크루거와 함께 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들은 코넬 대학 학부생 45명에게 20가지 논리적 사고 시험을 치른 후 자신의 예상 성적 순위를 제출하도록 했는데, 재미있는 결과가
이미지 출처 : http://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1805290018030239&select=&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6jjSgtYhh9RKfX@hlj9Sg-AKmlq [IE Info] 엿은 전분이 섞인 곡식을 엿기름으로 삭혀 푹 고아 제조한 식품입니다. 식품과학기술대사전을 참조하면 갱엿을 가열해 유연성이 있을 때 늘리기를 반복하면 엿 안에 기포가 들어가 흰색의 엿이 된다네요. 엿기름으로 만든 식혜를 여과해 맑은 액을 얻고 이 액을 끓여 농축한 후 냉각하면 갈색의 갱엿이 되고요. 맛있게 먹거나 어디든 붙일 때는 좋게 쓰이지만 말로 뱉을 때는 나쁜 의미가 대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엿은 언제부터 좋지 않은 어감을 갖게 됐을까요? 정확히 확인할 수는 없지만 중학교 입시가 존재하던 1964년에 '엿기름 대신 넣어서 엿을 만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문제가 출제된 후 정답을 알게 된 흥분한 학부모들이 무즙으로 엿을 만들어 교육청에 엿 먹어보라며 항의한 것에 기인했다는 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