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교보생명 광화문 빌딩 '특별 태극기' 눈길…광복 80주년 기념하는 민족기업

 

[IE 문화] 우리나라 민족기업 중 하나인 교보생명이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정신을 되새기는 특별한 태극기를 공개.

 

4일 교보생명에 따르면 현재 서울 광화문 본사 외벽에 독립운동 정신을 상징하는 '남상락 자수 태극기'를 래핑. 이번 태극기 래핑은 행정안전부(행안부) 주관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의 일환으로 독립운동가들의 애국 정신을 기리고 그날의 기쁨을 국민과 공유하기 위해 기획.

 

래핑은 가로 31m, 세로 31m 크기로 교보생명 빌딩 5층부터 12층까지 총 8개 층에 걸쳐 설치됐으며 오는 17일까지 감상 가능.

 

교보생명이 내건 태극기는 2019년 3∙1운동 100주년 당시에도 건물 외벽에 공개한 남상락 자수 태극기인데, 이는 독립운동가 남상락 선생이 지난 1919년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펼쳐진 4·4 만세운동에 쓰기 위해 만든 태극기.

 

선생의 아내인 구홍원 여사가 가내수공업 방식을 통해 짠 명주에 손바느질로 자수를 놓아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사료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08년 국가등록문화재 제386호로 지정.

 

교보생명이 남상락 자수 태극기를 처음 광화문 사옥 외벽에 내걸었을 당시 건곤감리 4괘의 문양이 현재 태극기와 달라 일부 시민이 "잘못 그려진 태극기"라고 문의하기도. 그러나 남상락 자수 태극기는 지난 1949년 태극기 표준화 이전 제작됐기 때문에 태극기의 4괘 중 '감'과 '리' 위치가 다름.

 

남상락 태극기 하단에는 "빛을 되찾은 80년. 그날의 용기, 오늘의 자부심. 교보생명은 기억하고 함께합니다"라는 교보생명 메시지도 함께 게재.

교보생명이 이런 캠페인을 진행한 이유는 창립 철학의 뿌리가 독립운동가의 정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 이 보험사는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이 일궈낸 '민족기업'. 교보생명 창업주인 대산(大山) 신용호 창립자를 비롯해 그의 부친인 신예범 선생, 큰형 신용국 선생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

 

특히 신용호 창립자는 집안 어른이자 독립 사상가였던 신갑범 선생의 소개로 항일 문학 대표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 선생과 교류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 당시 이육사 시인은 신용호 창립자에게 "모쪼록 큰 사업가가 되어 헐벗은 동포들을 구제하는 민족자본가가 되길 바란다"며 격려했고 훗날 이 말은 교보생명 창립의 정신적 근간으로 자리 잡음.

 

신용호 창립자는 지난 1958년 '보험은 믿음을 주는 수단'이라며 대한교육보험(現 교보생명)을 설립했으며 이후 '국민교육진흥'과 '민족자본형성'이라는 창립 이념 아래 여러 사업들을 전개.

 

대한교육보험은 창립과 동시에 세계 최초 교육보험인 '진학보험'을 출시. 당시 "담배 한 갑 돈만 아끼면 자녀를 대학에 보낼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하며 30년 동안 300만 명의 학생들에게 학자금을 지급. 해당 학자금 덕분에 대학에 진학한 이들은 성장해 1960년 이후 경제발전의 주역으로 활약.

 

신용호 창립자의 교육 철학은 1981년 국내 최대 서점 '교보문고' 설립으로 이어졌으며 현재도 연간 5000만 명이 방문하는 국내 대표 서점이자 문화 명소로 자리매김.

 

한편, 교보생명은 이번 광복 80주년 기념 캠페인 일환으로 온라인 퀴즈 이벤트도 진행. 독립운동가와 관련한 퀴즈를 풀면 정답자 중 추첨을 통해 푸짐한 경품(태극기골드바, 도자기갓잔, 커피교환권 등)을 증정. 이벤트는 오는 7일부터 29일까지 교보생명 공식 블로그와 광화문글판 인스타그램 채널을 통해 참여 가능.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교보생명은 특별한 날이 아닌 때도 본사 건물에 광화문글판을 게시. 광화문글판은 지난 1991년 1월 신용호 교보생명 창립자 제안으로 광화문 사거리에 처음 등장.

 

당시에는 '훌륭한 결과는 훌륭한 시작에서 생긴다' '개미처럼 모아라. 여름은 길지 않다'처럼 계몽적인 성격의 메시지가 격언이 대부분이었으나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신용호 창립자가 "시민에게 위안을 주는 글판으로 운영하자"고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