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어진 소비 둔화에 소상공인 눈물…올 2분기 49만 곳 폐업 결정

 

[IE 산업] 올 2분기에도 소비 둔화가 꺼지지 않으며 소상공인 업종 전반이 침체기인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 중 49만 곳이 폐업했다. 술집 매출 역시 1년 전보다 10% 가까이 감소했다.

 

18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2025년 2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매출 평균은 약 4507만 원으로 전 분기보다 7.9% 늘었지만, 전년 2분기보다는 0.8% 줄었다.

 

이와 관련해 KCD 측은 "겨울이 끝나고 봄, 여름으로 계절이 넘어가며 전 분기보다 소비 활동이 확대했지만, 1년 전과 비교해 소비 둔화 추세를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외식업 대부분 매출이 감소한 가운데 가장 타격이 큰 곳은 술집이었다. 올 2분기 술집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2% 급감했다. 여기 더해 분식(-3.7%), 아시아음식(-3.6%), 패스트푸드(-3.0%), 카페(-2.4%) 등도 매출도 떨어졌다.

 

서비스업에서는 노래방, 피시방, 스포츠시설 등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업종(-8.3%)이 많이 부진했으며 숙박·여행서비스업 매출도 3.2% 축소됐다.

 

지난 2분기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은 약 360만 개로 이 중 310만8000개(86.3%)는 현재까지 정상 영업 중이지만, 49만2000개(13.7%)는 국세청에 폐업을 신고했다. 폐업 사업장의 평균 연체액은 673만 원, 평균 대출 잔액은 6304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723조5000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 약 708조 원 대비 16조 원가량 급증했다. 금융권별 비중은 은행 대출이 432조8000억 원으로 59.8%을 차지했으며 상호금융을 포함한 제2금융권은 40.2%인 290조7000억 원이었다.

 

이와 관련해 KCD 강예원 데이터총괄은 "올 2분기에 나타난 외식·여가 분야의 소비 위축은 단순 매출 감소를 넘어 소비자들의 생활 방식과 지출 우선순위가 바뀌고 있다느 신호로도 해석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또 해외 출국 인원이 늘어나는 등 해외여행 수요 증가 역시 국내 소비 여력을 줄여 소상공인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다만 KCD는 올 3분기 새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효과가 반영되며 일부 업종에서 회복 조짐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회사가 소상공인 사업장 카드 매출 자료를 분석했더니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포가 시작된 한 주(지난 7월21일~27일)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이 저번주 대비 2.2% 뛰었다.

 

한편, KCD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개인사업자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 가입 사업장 16만 개를 표본조사했으며 소상공인 실태조사와 같은 비중을 적용해 전체 개인사업자 현황을 추정했다.

 

이를 통해 수집된 사업장별 여신금융협회·홈택스 연동 데이터가 사용됐으며 대출을 포함한 금융 현황은 한국신용정보원에서 받은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도 활용됐다.

 

/이슈에디코 전태민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5년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폐업을 경험한 자영업자들의 평균 영업기간은 6.5년이며 3년 미만 폐업 비율은 전체 40% 이상.이 가운데 숙박·음식업은 50.7%로 절반을 차지했으며 도소매업, 서비스업, 제조업 등이 뒤를 이음.

 

폐업 사유에 대해서는 수익성 악화와 매출 부진(86.7%)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개인 사정(28.7%), 신규 사업 준비(26.0%), 임대 만료·행정처분과 같은 기타(21.8%)는 다소 미미. 이들은 폐업 후 생계 유지 방안과 권리금 회수 및 업체 양도,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

 

평균 폐업 비용은 ▲철거비 518만 원 ▲원상복구비 379만 원 ▲퇴직금 563만 원 ▲세금 420만 원 등 2188만 원. 또 폐업 관련 가장 필요하다고 느낀 정부 정책으로는 대출금 상환 유예·이자 감면(52.6%)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폐업 비용 지원과 폐업 후 진로 지원도 많이 대답함. 이 밖에도 자영업자 고용보험과 노란우산공제 확대의 중요성도 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