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산 박람회에서 보험부스를 찾은 A씨는 상담 중 "조산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알린 뒤 보험사 직원에게 관련한 특약을 최대로 넣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출산 뒤 상품 약관을 보니 조산 위험을 보장하는 특약이 없어 놀랐다.
#. 원래 보험 가입 생각이 없었던 B씨는 한 아기용품 박람회에서 젖병소독기를 준다는 보험 영업직원에 혹해 고민 없이 상품에 가입하게 됐다. 또 설계사는 B씨가 상품에 가입하던 중 키가 커 보인다며 몸무게와 키를 임의로 작성한 뒤 해피콜에 무조건 '네'라고 답해야 한다고 강요했다.
[IE 금융] 각종 박람회에서 사은품을 미끼로 보험 불완전판매가 빈번해지자 금융감독원(금감원)이 소비자 경보를 내렸다.
26일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육아·결혼·반려동물 박람회 현장에서 이뤄지는 보험 영업 중 불완전판매 사례가 늘고 있다. 아기용품, 반려동물용품, 백화점 상품권 등을 선물한 뒤 첫 회 보험료 일부를 지원해 주겠다며 소비자들에게 접근, 가입을 유도한 것.
가입 전 이들은 종신보험이 사망을 보장하는 보장성 상품임에도 목돈이나 자녀 교육비 준비가 가능한 저축성 상품인 것처럼 오인하게 설명했다. 더불어 직업이나 운전 여부, 질병 정보 등 가입자가 계약 전 알릴 고지의무 항목을 사실과 다르게 적도록 유도하는 행위도 적발됐다.
만약 고지의무 항목을 위반하면 추후 계약 해지 또는 보험금 지급 거절과 같은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가입한 다음 절차가 적절하게 진행됐는지 확인하는 '해피콜(보험사 확인전화)'도 설계사가 옆에서 특정 답변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었다. 해피콜의 경우 향후 보험 계약과 관련한 분쟁이 발생할 시 증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금감원은 현장에서 다양한 사은품을 주더라도 즉시 가입하지 말고 약관과 설명서를 충분히 확인한 뒤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계약 전 직업·운전 여부·질병 이력 등 알릴 의무사항은 반드시 사실대로 직접 작성해야 하며 해피콜 역시 본인이 직접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금감원은 생명·손해보험협회 및 보험사와 합동 암행점검단을 꾸려 박람회 현장 보험 영업 행위를 불시 점검할 방침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이번 조사를 위해 금감원은 직원이 박람회에 방문하는 '암행 기동점검'을 실시. 이는 금융사 영업 동향, 민원을 분석해 이상기후를 포착하면 금감원 직원이 신분을 밝히지 않은 채 현장을 찾아 실제 판매 관행을 살피는 모니터링 방법. 위규 적발과 제재가 수반되지는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