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수자 찾지 못한 홈플러스, 또다시 회생기획안 제출 기한 연장



[IE 산업] 올 초 기업회생에 나선 홈플러스가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또다시 연장했다. 서울회생법원이 정한 제출 기한인 오는 10일까지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위한 인수의향자를 찾지 못했기 때문.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이날 법원에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연장해 달라는 신청서를 냈는데, 이는 지난 7월에 이어 두 번째 연장이다. 앞서 서울회생법원은 당초 기한은 지난 7월10일로 정한 바 있다.

 

홈플러스는 조건부 인수계약을 체결한 다음 공개입찰을 병행하는 '스토킹호스(Stalking Horse)'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 중이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이달까지 인수 후보와 인수의향서(LOI)를 교환한 뒤 예비실사에 착수해야 했다. 이런 절차를 거친 뒤 다음 달에 인가 전 M&A 내용을 포함한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했지만, 공개입찰조차 이뤄지지 못한 것.

 

여기 더해 홈플러스는 법원에 보증금 지급 허가 요청서도 함께 제출했다. 이 업체는 회생절차 개시 후 현금 흐름이 악화하자 임대료 조정 협상이 지연된 15개 점포는 연내 폐점을 검토하고 있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이들 점포에서만 약 800억 원의 영업손실이 발생 중이며 이 중 700억 원 이상이 임대료 부담에서 비롯됐다.

 

이번 폐점 결정에 대해 홈플러스는 "긴급하게 생존경영에 들어가게 된 이유는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기 때문"이라며 "회생 기반을 확보하고 10만 명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절박하고 부득이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홈플러스는 폐점 준비 점포 직원 고용을 100% 보장하고 인근 점포로 전환배치와 함께 소정의 고용안정지원금도 지급할 계획이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마트노조)는 오는 8일부터 홈플러스 점포 폐점을 반대하며 총궐기 투쟁을 진행할 예정.

 

이에 대해 마트노조는 "임대료 협상을 핑계대고 있지만, 제대로 된 협의조차 하지 않은 일방적 폐점"이라며 "점포 폐점은 곧 홈플러스의 경쟁력 약화를 의미하기에 사실상 청산 절차로 가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

 

이어 "폐점 피해는 노동자, 입점주 등 당사자들과 투자자, 국민연금까지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며 "홈플러스의 연쇄적인 점포 폐점은 단순한 기업 구조조정 문제가 아닌, 지역사회와 국가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위기"라고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