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KT 소액결제 피해자' 199명으로 확대…경찰, 병합 수사 중

 

[IE 산업] 최근 KT 소액결제 피해가 일파만파 커진 가운데 피해자가 199명으로 늘어났다.

 

15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정례 기자간담회를 통해 "사건 피해자가 추가돼 199명의 피해신고가 접수됐다"며 "124건은 병합 수사 중인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이송됐다"고 알렸다.

 

그러면서 "나머지 75건은 접수한 관서에서 피해자 조사 등 초동조치 후 경기남부청 사이버수사로 이송할 것"이라며 덧붙였다.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주로 이뤄지는 곳은 경기 광명시와 부천시, 서울 금천구 등 세 곳이었는데, 이후 인천 부평구, 경기 과천시, 서울 영등포구 등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신고가 발생하고 있다. 피해자 모두 KT 통신사 고객이었으며 자신도 모르게 휴대폰을 통한 소액결제가 이뤄졌다고 주장 중이다.

 

KT는 이번 사태의 원인을 불법 초소형 기지국(팸토셀)으로 지목하고 있으며 정부 당국과 협력해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겠다며 사과한 바 있다. 이 통신사에 따르면 불법 기지국 두 개가 발견됐으며, 해당 기지국의 신호 수신 이력이 확인된 고객은 약 1만9000명이었다. 이 가운데 가입자식별번호(IMSI) 유출 정황이 확인된 고객은 5561명으로 집계됐다.

 

한편, 경찰은 SKT 유심 해킹 사건과 관련해서도 수사를 진행 중이다. 경찰 측은 "국제공조를 통해 회신받은 자료를 분석해 계속 추적하고 있다"며 "공격 주체를 규명하기 위한 면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슈에디코 강민호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이날 민생경제연구소와 참여연대, 한국소비자연맹 등 시민단체는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앞에서 SKT 유심정보 유출와 KT 소액결제 사태 등 이동통신사 해킹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 개최.

 

이들은 "통신 안정을 해치는 외주화를 중단하라"며 "늑장 대응에 정부는 뒷짐 지고 뭐하냐"고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