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LG그룹, 자사주 소각·배당 확대 중심 주주환원 이행…신뢰 강화↑

 

[IE 산업] LG그룹 8개 상장사가 올해 자사주 소각과 배당성향 확대를 중심으로 한 주주환원 기조를 계획대로 이행.

 

28일 LG그룹에 따르면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등 8개 상장사는 이날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현황' 공시. 이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계획의 실행 내역과 향후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조치며 공시에 ▲자사주 소각 ▲배당정책 개선 ▲추가 주주환원 등이 포함.

 

주요 상장사의 올해 자사주 소각 규모는 총 5000억 원. LG는 보유 자사주 중 절반인 2500억 원 규모(302만9580주)를 지난 9월 소각 완료했으며 LG전자·LG생활건강·LG유플러스도 합산 2500억 원을 소각.

 

LG의 경우 내년 상반기 내 잔여 자사주 2500억 원 전량 소각을 예고. LG전자는 보유 잔여 자사주(보통주 1749주·우선주 4693주)를 내년 주총 승인 후 소각할 예정. LG생활건강도 오는 2027년까지 약 2000억 원 규모 전량 소각 목표를 제시.

 

배당성향 확대도 계획대로 수행. LG는 최소 배당성향을 기존 50%에서 60%로 올린 뒤 지난해 별도 조정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76%를 기록. LG전자는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25% 이상 배당 정책에 맞추고 있으며 LG이노텍은 배당성향을 2027년 15%, 2030년 20%으로 상향하기로 약속. LG유플러스는 주주환원율 최대 60% 달성을 목표로 함.

 

여기 더해 LG는 약 4000억 원 규모(세후)의 광화문빌딩 매각 대금을 ABC(AI·바이오·클린테크) 중심 미래 투자와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 LG전자는 향후 2년간 총 2000억 원 규모 추가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했으며, 세부 방식은 이사회 논의 후 시장과 공유할 예정>

 

LG화학은 자회사 지분 활용 전략과 안정적 배당을 병행하겠다는 입장을 유지. LG에너지솔루션 보유 지분은 중장기적으로 70% 수준까지 낮추며 미래 대응 재원을 확보할 계획.

 

한편 LG·LG전자·LG화학은 이사회 내 보상위원회를 신설해 거버넌스 체계 고도화를 진행 중. 이는 임원 보수의 절차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주주이익 보호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자사주 소각은 장기적으로 주당 가치 상승 효과가 있어 중·장기 투자자에게 긍정적. 배당 정책 강화는 배당 성장주 성격을 강화하는 요소로 배당투자자 중심 포트폴리오에도 적합도가 올라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