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美 관세 부과 직격탄…금융권, 피해 업체에 지원 사격 실시

 

[IE 금융] 정부가 미국 관세 직격탄을 맞게 된 우리나라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년까지 총 267조 원을 지원하는 가운데 은행권도 발 맞춰 금융 지원 사격에 나서기 시작.

 

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미국 관세 부과 탓에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총 30조 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시행.

 

지원책을 보면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총 23조2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 또 주요 기업대출 특판 한도를 증액(16조 원)했으며 고정금리 우대 대출(3조원), 신속지원 특별프로그램(2조2000억원) 등도 편성.

 

더불어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총 5조4000억원의 금융 지원을 실시. 수출입 핵심성장산업에 우대금융 지원(4조7000억원), 자동차 부품업체를 위해 무역보험공사 보증부 대출 공급(7000억원) 등이 포함. 신성장산업 및 유망창업기업을 대상으로 1조7000억 원 규모의 보증부 대출도 지원.

 

IBK기업은행은 이달 5일 총 1조 원 규모의 특화 대출상품인 'IBK관세피해기업 지원대출'을 출시. 대상은 미국의 관세 부과로 피해를 입은 중소·중견기업 가운데 대미 직·간접 수출·수입 기업과 국내외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기업.

 

이 은행은 기업당 최대 200억 원 이내에서 운전·시설자금을 지원하고 대출 금리를 최대 1.5%포인트(p)까지 감면할 계획.

 

이밖에도 기업은행은 지난 4월 '관세피해 관련 금융애로 상담창구'를 운영해 지난 7월 말까지 총 1만3093개 기업을 상담. 이 중 직·간접 피해가 있는 952개 기업에 대해 신규 자금 지원과 금리 인하와 같은 301건의 애로사항을 해결.

 

KB국민은행은 올 초 4조50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 사격에 나서기로 결정. 더불어 기업대출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9조5000억원으로 확대했으며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 원을 특별 출연. 이를 통해 기업들은 3년간 보증비율 100% 우대 협약보증서를 발급 또는 최대 1.5%p 이내의 보증료 받기 가능.

 

이와 함께 미국의 관세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자동차 관련 업체를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총 1500억 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 대출을 신속히 지원할 예정.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역시 관세 조치 피해 업종에 저금리 자금을 공급하는 동시에 위기 대응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

 

/이슈에디코 강민희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미국의 관세 부과는 올해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강화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여러 국가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

 

우선 지난 4월부터 모든 수입품에 기본 관세 10%를 일괄 적용. 우리나라 제품에 대해서는 기존 무관세에서 자동차나 반도체를 포함한 전략 품목에 15% 관세 부여.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 구리 등은 최대 50%의 관세를 적용하기로.

 

이에 따라 올 1~8월 기준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4.1% 감소했으며 관련 중소·중견기업은 원가 상승과 수익성 악화에 경영 압박이 커짐.

 

또 관세로 인한 무역 불균형은 환율에 영향을 끼치며 원화 약세 가능성도 제기됨.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일부 품목 관세를 15%로 낮췄지만, 여전히 불확실성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