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산업] SK텔레콤(SKT)이 악성코드 탓에 벌어진 사이버 침해 사고 발생 이후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28일부터 유심 무료 교체에 나선 결과 예약자 건수가 382만 건으로 확인됐다.
29일 SKT에 따르면 28일 첫날부터 전국 2600여 개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를 통해 유심 교체를 원하는 고객들로 인산인해였다. 또 유심 재고 부족으로 교체를 못 한채 돌아가는 고객도 많았다.
SKT는 이런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같은 날부터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예약을 받고 있다. 그 결과 전날 하루 동안 교체 예약자 건수가 382만 건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재 유심 재고가 수요에 비해 부족할뿐더러, 교체 시간 탓에 하루 처리량에 한계가 있다는 게 SKT의 설명이다. 이에 이 회사는 유심 100만 개를 추가 수급했으며 다음 달까지 약 500만 개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SKT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처리 용량을 크게 늘린 덕분에 이날까지 1000만 명, 내달 초까지 1500만 명 정도 서비스에 가입할 것으로 보인다.
SKT 측은 "유심보호서비스를 통해 유심 불법 복제에 의한 고객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만큼 믿고 가입해 달라"며 "서비스 가입 후 피해 발생 시 SKT가 100% 책임지겠다"고 알린 바 있다.
다만 유심보호서비스는 로밍 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어 SKT가 네트워크 인프라센터, MNO사업부, AT/DT센터 등 개발 역량을 총동원해 해결 방법을 모색 중이며 다음 달 안까지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다.
이 밖에서 회사는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방식(가칭 '유심포맷')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 유심 교체가 하드웨어적으로 새 유심으로 교체하는 방식이지만, 개발 중인 이 방식은 고객이 보유한 기존 유심 정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 유심 교체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SKT 관계자는 "유심포맷도 매장을 방문해 유심 변경과 관련한 시스템 매칭 작업을 거쳐야 하며 내달 중순까지는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슈에디코 김수경 기자/
+플러스 생활정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SKT 침해사고 결과를 발표한 결과 이번 유출 정보 중에는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유출이 없는 것을 확인.
때문에 SKT가 제공 중인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면 유출 정보로 유심을 복제해 다른 휴대전화에 꽂을 수 있는 행위(심스와핑)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
또 조사단은 조사 과정에서 침투에 사용된 'BPFDoor' 계열 악성코드 4종 발견. 이는 리눅스 운영체제(OS)에 내장된 네트워크 모니터링·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BPF(Berkeley Packet Filter)를 악용한 백도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