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 경제]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민간 소비 회복과 수출 호조에 덕택에 전 분기보다 0.6% 성장, 저성장 늪에서 빠져나오고 있다.
24일 한국은행(한은)에 따르면 올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0.6%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1.2% 성장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앞서 국내 GDP는 작년 1분기 성장세 이후 2분기 0.2% 하락했다. 이어 같은 해 3분기와 4분기 각각 0.1% 성장하더니 올 1분기 다시 0.2% 하락세를 보였다. 이처럼 4분기 연속 0.1% 이하 성장률은 처음 겪는 일이다.
이 기간 부문별로 보면 민간 소비의 경우 승용차와 오락문화 지출 위주로 증가하며 0.5% 상승했으며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위주로 1.2% 늘었다. 다만 건설 투자는 건물·토목 건설 위축에 1.5%, 설비 투자는 기계류와 운송 장비 중심으로 1.5% 줄었다.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 제품 호조에 4.2%, 수입은 원유 및 천연가스와 같은 에너지류 중심으로 3.8% 뛰었다.
한은은 2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0.5% 올리기도 했다. 이들은 지난 2월 올해 성장률을 1.5%로 제시했는데, 5월 0.8%로 낮추면서 2·3·4분기 성장률을 각각 0.5%, 0.7%, 0.6%라고 제시한 바 있다.
2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순수출과 내수가 각각 0.3%포인트(p)였으며 내수 기여도는 1분기 -0.5%p에서 0.3%p로 개선됐다. 한은은 내수 가운데 민간 소비와 정부 소비가 모두 0.2%p씩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건설투자(-0.2%p)와 설비투자(-0.1%p)는 성장률을 낮췄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중심으로 2.7%, 서비스업은 도소매·숙박음식업·부동산업 회복 덕분에 0.6% 성장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1.3%로 실질 GDP 증가율(0.6%)을 웃돌았다. 실질 GDI는 실질 GDP에서 교역 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 손익을 감안한 수치인데,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낸다.
한은은 하반기에도 민간 소비와 수출 중심의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플러스 생활정보
올해 전 세계 GDP를 보면 미국이 1위며 ▲중국 ▲독일 ▲일본 ▲인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이 뒤를 잇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12위.
미국은 올해도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며 세계 경제를 주도하고 있음. 다만 중국의 경우 급성장 후 최근 성장률 둔화로 격차가 벌어지고 있음.
반면 인도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미래 경제 강국으로 주목받는 중. 경제활동인구가 약 10억 명 이상인 데다,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생산 가능 연령층. 또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으로 반도체·전자제품 중심의 생산기지를 육성하고 있으며 세금 감면, 고용 확대 정책을 확대 중.
외국인의 직접 투자 역시 작년 기준 12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전년보다 18% 뜀. 지금처럼 내수 기반과 인프라 투자를 강화한다면 중국을 넘볼 수도 있는 국가. |